담암일집 ()

목차
관련 정보
담암일집
담암일집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신, 백문보의 시 · 소 · 기 · 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백문보의 시 · 소 · 기 · 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3권 1책. 목판본. 후손들이 그의 시문을 수습하여 엮은 것인 듯하며,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다만, 조선 고종 때 의금부도사를 지낸 김도화(金道和)의 후서(後敍)와 행승정원부승지(行承政院副承旨)를 역임한 이만도(李晩燾)의 발이 붙어 있는 점으로 보아, 한말에 상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고려명현집(高麗明賢集)』 5집과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2집에 영인되어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2012년에 번역하였다.

내용

권1에 시 11수, 권2에 소(疏)·차(箚) 3편, 서(序) 3편, 기 2편, 설 2편, 행장 1편, 비명 1편, 권3에 찬자(撰者)의 전기 관계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척불소(斥佛疏)」는 유학에 기초를 두고 신라 이래의 불교 숭상이 빚은 여러 가지 폐단을 혁신하고자 하는 그의 치국책에 대한 주의(奏議)이다. 이 소는 권근(權近)이 “백담암(白淡庵)은 이단을 배척하는 데 더욱 힘썼다.”고 평한 바와 같이, 그의 강력한 불교 배척 사상이 잘 나타난 글이다.

「논시정차자(論時政箚子)」는 정사 전반에 걸친 그의 탁견을 주의한 것으로, 특히 당시의 선거(選擧: 科擧)·식화(食貨)·행형(行刑)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시로는 「차경포대운(次鏡浦臺韻)」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담암일집해제(淡庵逸集解題)」(천혜봉, 『고려명현집』5,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