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언고략 ()

목차
관련 정보
동언고략
동언고략
언어·문자
문헌
조선후기 국어 어원을 해석한 연구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국어 어원을 해석한 연구서.
내용

2권 1책. 한문필사본. 저자·연대 미상으로 조선 말기 박경가(朴慶家)의 저작이라고 주장하는 학설도 있다.

이본으로 필사본 3종과 1903년정교(鄭喬)의 이름으로 간행된 국한문혼용의 활판본이 있는데,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다. 편제의 내용은 고담(古談), 속언(俗諺) 상(上), 속언 하 등의 순서로 나뉘어 있다.

또한 ‘고담’편을 군목(群目), ‘속언’편 상권을 재물(載物)·심류(心類)·당(黨)·설화, 하권을 계수(計數)·식음(食飮)·관계(冠筓)·가택(家宅)·농기(農器)·병기(兵器)·악기(樂器)·산업류(産業類)·문방류(文房類)·주머니[囊]·곡물(穀物)·채초(菜草)·나무[木]·짐승[獸]·새[鳥]·어류(魚類)·벌레[虫] 등으로 세분하여 우리말의 어원을 해석하였다.

이어서 역사적인 사실에 관한 기술로서 우리 나라의 사극(四極)·사유(四維)·삼한(三韓)·사군(四郡)·이부(二府)·삼부여(三扶餘)·삼옥패(三沃浿)·신라오경(新羅五京)·백제삼도(百濟三都)·고구려삼도(高句麗三都)·가락오가야(駕洛五伽倻)·삼신산(三神山)·발해십육부(渤海十六府)·고려십도(高麗十道)·고려개정칠도(高麗改定七道) 등을 들고 끝으로 이두(吏讀)·사토(辭吐)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책은 약 820개의 어사(語辭)에 대하여 그 어원을 모두 중국어에서 구하려고 하였다. 간혹 재미있는 견해도 없지 않으나 그 대부분이 억지로 끌어붙여 어떤 조건이나 이치에 맞추려고 하였다.

가령, 한어(漢語)의 ‘대(大)’를 ‘한’이라 이른 것은 그 기원을 ‘한(韓)’에서 찾고, ‘천(天)’을 ‘한을’이라 한 것은 ‘한을(韓乙)’에서, ‘지(地)’를 ‘ᄯᅡ’라 한 것은 땅 위에 놓여 있는 물건이 많기 때문에 ‘다(多)’에서, ‘율(栗)’을 ‘밤’이라 한 것은 밤의 열매가 방에 있기 때문에 ‘방(房)’ 에서 찾은 것 등이 그러한 예이다. 그러나 이 책은 국어 및 국사연구의 자료가 된다. 부록으로 『동성고(東姓考)』가 붙어 있다.

참고문헌

『신국어학사(新國語學史)』(김민수, 일조각, 1980)
『국어학개설(國語學槪說)』(이희승, 민중서관, 1955)
「동언고략(東言考略)의 네 이본고(異本攷)」(박갑수, 『국어학』7, 1978)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