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듬

목차
언어·문자
문헌
개항기의 국어학자 이규영((1890~1920)이 1913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목차
정의
개항기의 국어학자 이규영((1890~1920)이 1913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내용

1913년경에 집필한 이 책은 인찰지 55장의 필사본으로 소리갈·씨난갈·짬듬갈의 3부를 갖춘 기초문법서이다.

후주시경학파(後周時經學派)에 속하는 저술이나, 김희상(金熙祥)의 『조선어전』(1911)을 참조하여 품사분류가 주시경문법과 같지 않다. 이 점은 오히려 김희상문법과 거의 같고, 어떤 것은 그 용례도 일치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주시경문법을 바탕으로 김두봉만 아니라 이질적인 김희상문법까지 수용하여 새롭게 시도한 저술이다.

특히 끝에 제시된 ‘본미’는 주시경문법에 설정된 언어단위 ‘미’을 설명한 유일한 용례와 분석으로 평가된다. ‘말듬’은 주시경의 용어로 ‘말본’이라는 말 이전에 사용하였다.

저자는 “끝없는(無窮) 꼿속나라(錦繡國) 젊은 손의 우물안 눈(拙見)”이라고 적어놓았는데, 이 말은 이규영의 비망록 「온갖것」·「금강뫼탐험노래」 속에서 자신을 이른 말임이 밝혀졌다. 이로 보면 이 책은 저자가 조선광문회에서 주시경의 국어사전 『말모이』를 편찬하던 24세에 집필한 것이 된다.

참고문헌

「이규영말듬」(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탑출판사, 1985)
「이규영(李奎榮)의 문법연구(文法硏究)」(김민수, 『한국학보』19, 198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