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재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홍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홍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목활자본. 철종연간에 후손들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책머리에는 장석룡(張錫龍)의 서문과 책끝에 장승택(張升澤)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21수, 만시 1수와 제묘문(祭墓文)·행장·묘표·유허비명·회연원사봉안문(檜淵院祠奉安文)·상향축문(常享祝文)·봉양사묘우상량문(鳳陽祠廟宇上樑文) 및 그 상향축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한강선생봉산욕행(寒岡先生逢山浴行)’ 때의 것으로 보이는데, 제목이 「범주낙강이만경창파욕모천분운득창자(泛舟洛江以萬頃蒼波欲暮天分韻得滄字)」인 것만 보더라도 그 시정을 짐작할 수 있다. 거기에 이기춘(李基春)·이승(李承)·정구(鄭逑)·김면(金沔)·박성(朴惺)·이홍량(李弘量) 등의 시가 곁들여 있으며, 이도(李蒤)·조정융(曺挺融) 등이 화답한 장시도 있다.

제묘문에서 정구는 장자지풍(長者之風)의 그와 형제지의로서 40여 년을 사귀다가 헤어짐을 슬퍼하고 있다. 이원정(李元楨)이 쓴 행장과 아들 서(서)가 쓴 묘표에 가계(家系)가 나타나 있는데, 저자의 손서에 허적(許積)이 있고 증손부에 강대수(姜大遂)의 딸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모두가 당시의 명문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의 덕행이나 학행을 헤아릴 수 있다.

그밖에 「유허비명」은 허목(許穆), 「상향축문」은 최흥벽(崔興壁), 사묘(祠廟)인 「봉양사묘우상량문」은 금시술(琴詩述)이 지었고, 그 「상향축문」은 이휘령(李彙寧)이 쓴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