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홍일고등학교 ()

목차
관련 정보
홍일고등학교
홍일고등학교
단체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에 있는 고등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에 있는 고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45년 12월천영(千英)·서원삼(徐源三)·김오봉(金五奉)·제갈현룡(諸葛現龍)·박종률(朴鍾律) 등 5인이 광복 이후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보다 국가관과 민족의식이 뚜렷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이 풍부한 인재의 교육에 있다고 보고, 그 뜻을 모아서 목포동광중학교(木浦東光中學校) 설립기성회를 조직하였다.

여기에 적극 호응한 김성호(金聲浩)·천복운(千福運)·박판옥(朴判玉) 등으로부터 5만여 평의 토지를 기증받아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46년 2월 주간부 및 야간부 각 70명의 학생으로 개교하여 초대 교장에 서원삼이 취임하였다. 1947년 6월 재단법인 동광학원의 정식인가를 받고 이사장에 김성호가 취임하였다.

1948년 4월 정병조(鄭炳朝)로부터 별도의 부지 9,800여 평을 기증받아 교지를 확장하였으며, 신 「교육법」에 따라 1951년 목포동광중학교와 분리, 목포동광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64년 6월 재단법인을 학교법인 동광학원으로 변경하였으며, 1972년 12월 12학급을 18학급으로, 1978년 10월 다시 30학급으로 증설하였다.

1976년 4월 학교법인의 명칭을 홍일학원(弘一學園)으로 변경함에 따라 같은 해 9월 교명을 목포홍일고등학교로 개칭하게 되었다. 1994년 10월 학생 생활관을 준공하였다. 2001년 3월 26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학생 식당을 준공하였다.

현황

2010년 현재 56회 졸업으로 1만 8,085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었다.

학교명칭인 ‘홍일’의 뜻은 배우면서 하나가 되어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는 큰 일꾼이 되자는 것으로, 교훈인 ‘성실’로써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은 전인교육을 통하여 지덕체를 겸비한 성실인을 육성하는 데서 홍일교육의 기본 방향을 삼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강인한 정신력과 체력을 위하여 전용 유도장을 마련하여, 학생전원이 유도의 유급화를 목표로 매주 1시간씩 유도수업을 하며, 매년 1회씩 교내유도대회를 열고 있다.

이에 따라 유도부는 전국소년체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많은 국가대표선수를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목포홍일고등학교(http://hongil.hs.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