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구 ()

목차
문헌
당나라 학자 이한이 아동의 문자 교육을 위하여 저술한 교재. 아동교육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당나라 학자 이한이 아동의 문자 교육을 위하여 저술한 교재. 아동교육서.
내용

8자(字)를 한 구(句)로 하여 중국 역대의 뛰어난 인물과 그 행적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왕융간요배해청통(王戎簡要裵楷淸通)’ 등으로 한 구를 이루어 진(晉)나라 때의 인물 왕융(王戎)과 배해(裵楷)의 뛰어난 인품을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역대의 사실(史實)을 아동에게 가르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조선시대도 일반 선비가문에서는 이 책을 아동용 교재로 널리 사용하였다. 조선 말기의 학자 홍익주(洪翼周)는 이 책에 자세한 주해를 붙인 『몽구주해(蒙求註解)』를 간행하였다. 『몽구주해』의 발문을 쓴 홍우경(洪祐慶)에 의하면, 『몽구』는 자구가 매우 간략하면서도 뜻이 깊어, 일반 선비가문에서 매일의 학습서로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몽구주해(蒙求註解)』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