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학사요 ()

목차
관련 정보
몽학사요
몽학사요
문헌
조선후기 학자 김용묵이 역사적 사실과 인물의 행적에서 2,000자를 선별하여 편찬한 교재. 문자학습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김용묵이 역사적 사실과 인물의 행적에서 2,000자를 선별하여 편찬한 교재. 문자학습서.
내용

1책. 1866년 정원용(鄭元容)이 쓴 서문에 의하면 이 책은 고금의 치란득실(治亂得失)과 선악에 관한 행적들을 쉽게 이해시키고자 편찬된 것이다.

책의 구성은 주흥사(周興嗣)의 『천자문』과 같은 형식인 4자문(四字文)의 체제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천자문』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점은 2,000자를 역대 사실 및 인물의 행적을 알려주는 낱말에서 뽑았다는 사실이다.

김학성(金學性)이 쓴 서문에서는 이 책이 역사 이해의 기초 입문을 위하여 간행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수록된 단어들은 고대 삼황시대(三皇時代)에서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사적과 우리나라 역사를 소개하는 낱말 중에서 채택한 것이다.

또한 각 4자성구(四字成句)의 상단에는 한자로 간략하게 주해(註解)를 붙이고 있어 역사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다. 책의 첫 부분에는 우주의 생성 및 인간의 존엄성을 논하고 있는데, 근원으로서의 태극에 관한 설명과 만물의 영장으로서의 인간에 관한 언급이 앞서고 있다.

다음으로 삼황오제(三皇五帝)를 비롯하여 중국 역대인물에 관한 소개가 4자성구의 형태로 실려 있다. 뒷부분에는 조선 역사에 관한 설명도 있다. 따라서 사서(史書)를 읽기 이전의 학동들에게는 역사 이해의 초입서로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권말의 발문에서도 이 책의 간행 동기가 아들 기찬(基纘)의 동몽용 학습교재로 편찬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발문에는 이 책이 역대 사적(史跡)의 요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성인의 학습서 역할도 가능하다고 했다.

이로 볼 때 이 책은 단순한 문자학습서로 그치지 않고, 춘추필법에 기본을 둔 유학적 역사정신을 아동에게 심어주려는 의도가 담긴 교재이다. 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