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촌화 ()

목차
관련 정보
박소촌화
박소촌화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이동윤(1727~1809)이 우리나라 역대 인물과 문물에 관한 기록을 모아 저술한 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동윤(1727~1809)이 우리나라 역대 인물과 문물에 관한 기록을 모아 저술한 책.
내용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단군입국(檀君立國)」을 비롯하여 「태조대왕건국지초(太祖大王建國之初)」 · 「국초의관(國初衣冠)」 · 「고려지어원(高麗之於元)」 · 「세종대왕(世宗大王)」 · 「세칭생육신(世稱生六臣)」 등 모두 140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국입국」에서는 단군이 중국의 요(堯)나라 때에 나라를 세웠고, 기자조선이 중국의 주무왕(周武王) 때이며, 신라의 건국시기가 서한말(西漢末) · 동한초(東漢初)라 하여 중국과 대등한 역사를 밝혔다. 또, 중국의 문화가 우리 문화보다 나은 것은 자연현상에 비교하여 해가 뜰 때 빛이 서쪽부터 비치므로 서쪽이 동쪽보다 먼저 문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지만, 해는 동쪽에서 뜨므로 문화의 근본은 우리나라에서 찾아야 한다고 하여, 중국문화에 대한 우리 문화의 자주성을 강조하였다.

「태조대왕건국지초」는 동성동본의 금혼(禁婚)을 다룬 글로, 고려 때 동성혼인을 장려한 것을 논박하고, 동성 또는 근친간의 혼인은 성도덕이 문란하게 되며, 타성(他姓)과의 혼인은 거리가 있는 타성과 인척이 될 수 있고, 또 자손도 번성한다는 우생학적 근거를 들어 그 명분을 주장하였다.

「세종대왕」은 한 시대의 문명을 일으킨 공이 컸는데, 그를 보좌한 인물로 황희(黃喜) · 허조(許稠) 등이 있지만, 조광조(趙光祖) · 이황(李滉) · 이이(李珥) 같은 인물이 당대에 태어났다면 요순과 같은 태평성대를 만들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 후기에 점증하고 있던 민족의식과 성리학적인 사유체계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의 역사 · 문물을 조감한 저술로, 조선 후기의 역사인식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敏齋 李東允의 문집 현황과 한시 작품 개관」(이재숙, 『대동한문학』 72, 202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