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강역고 ()

목차
고대사
문헌
1925년 서상우가 발해의 강역과 지명 고증에 관하여 저술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5년 서상우가 발해의 강역과 지명 고증에 관하여 저술한 학술서.
내용

2권. 이 책은 유승간(劉承幹)이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요사(遼史)』지리지 등이 오류를 범하였던 발해의 오경(五京)과 부(府)의 위치비정에 저자의 노력이 집중되었으며, 따라서 독창적인 견해가 적지 않다.

그 내용을 보면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는 지금의 영고탑(寧古塔) 호이합하(虎爾哈河 : 목단강)의 동쪽이라 하였고, 중경현덕부(中京顯德府)는 상경의 서남방 300리로서 오라(烏喇 : 吉林)의 동남경계라 하였으며,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는 지금의 함경북도 경성·부령으로 보았으며, 남경남해부(南京南海府)는 지금의 함경남도 북청, 서경압록부(西京鴨綠府)는 지금의 평안북도 강계에서 서북쪽인 압록강 건너쪽으로 비정하고 있다.

이 비정은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1930년대 이전의 것으로는 타당성이 정치(精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총론에서 발해의 주체종족을 말갈(靺鞨)로 보고, 지금의 영고탑 부근에서 건국하였다고 한 것은 고구려의 별종(別種)이 계루(桂婁)의 옛땅에 건국하였다고 한 『구당서(舊唐書)』를 비판없이 물리치고 『신당서』에 의존한 흠결이라 하겠다.

이 책을 엮는 데 있어서 서상우가 인용한 서적은 『요사』·『금사(金史)』·『원사(元史)』『자치통감(資治通鑑)』·『성경통지(盛京通志)』·『대청일통지(大淸一通志)』등이며, 정약용(丁若鏞)의 『발해고(渤海考)』나 1900년대초부터 발해사연구에 많은 업적을 올렸던 일본학계의 성과는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이 책의 한계가 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