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고등학교 ()

단체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이칭
이칭
배재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연원 및 변천

배재고등학교의 전신인 배재학당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중등교육기관으로, 기독교 정신과 개화사상을 바탕으로 근대교육의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미수호조약 이후 본격적으로 기독교가 전래되면서 1885년 8월 3일 미국 북감리회 선교사 아펜젤러(H. G. Appenzeller)에 의해 학당으로 설립되었다. 아펜젤러는 선교사업과 함께 신교육을 보급할 목적으로 의료선교사 스크랜턴(W. B. Scranton)의 집을 사서 방 두 칸의 벽을 헐어 조그마한 교실로 개조하였다.

최초의 학생인 이겸라(李謙羅)와 고영필(高永弼) 두 명을 데리고 영어수업을 시작하였고, 1886년에 학생이 16명으로 늘어나자 한성 정동에 있는 민가 몇 채를 사서 교실로 개축하여 사용하였다.

1886년 6월 8일 고종이 학교 설립의 소식을 듣고 이를 격려하여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는 교명을 지은 뒤, 명필 정학교(丁學喬)에게 학교 현판을 쓰게 하여 외무아문 김윤식(金允植)을 통해 아펜젤러에게 전달하였다. 이때부터 배재학당이라 칭하게 되었으며, 개교기념일도 6월 8일로 정하였다.

초기에는 중등과정의 특별과(보통과)와 대학과정의 본과를 두고 한문·영어·만국지지(萬國地誌: 학부에서 간행한 세계지리서) 등을 가르쳤다. 1887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르네상스식 벽돌 교사를 신축하여 학교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이와 함께 교원과 교과목 수를 늘리고 수업연한도 보통과 4년, 본과 5년으로 정하였다.

이때의 교과목은 만국지지·사민필지(士民必知: 선교사 헐버트가 지은 세계지리서)·위생·창가·도화(圖畵: 미술)·체조 등이었고, 교과 외에도 오후에는 서재필(徐載弼)·윤치호(尹致昊) 등이 서구 민주주의와 의회제도 등에 관한 특별 강의를 하였다.

입학 자격은 17세 이상의 남자로서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읽고 한글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해당되었다. 1909년 4월 배재고등학당으로 인가를 받았으며, 배재학당 당시의 졸업생 총 수는 32명이었다.

1914년 3월 교원양성을 위하여 중등사범전수과를 병설하였고, 1916년 5년제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설립인가 되면서 전수과는 폐지하고 배재고등학당과 배재고등보통학교 두 학교를 병설로 운영함과 동시에 동관을 준공하였다.

그 뒤 1925년 일제에 의해 배재고등학당은 15회 205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뒤 폐교되었고, 배재고등보통학교는 1937년 4월 6년제 배재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개정에 따라 배재중학교와 분리되어 3년제 배재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84년 2월 서울시 강동구 고덕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으며, 2009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 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47학급에 총 1,823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고, 교직원은 109명이 재직하고 있다.

기능과 역할

배재학당의 설립과 함께 당훈(堂訓)은 성경 구절을 한역한 ‘욕위대자당위인역(欲爲大者當爲人役)’으로 제정하여 지금까지 교훈으로 내려오고 있다. 이 말은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는 뜻으로, 크고 위대한 사람일수록 남을 부리거나 섬김을 받는 것이 아니라 뭇사람의 종〔奴〕이 되어야 한다는 기독교정신을 담고 있다.

설립 초기에는 학당 내에 활판소를 설치, 영문과 한글 활자를 주조하여 『성서』·『조선그리스도인회보』·『독립신문』·『천로역정(天路歷程)』 등을 발행하였다. 1896년에 학생회인 협성회(協成會)를 조직하여 기관지 『협성회보』를 발간하고 조국의 독립과 교육구국의 정신을 일깨웠다.

당시 아펜젤러 교장 사택과 학당 기숙사는 서재필(徐載弼)·윤치호(尹致昊)·이상재(李商在)·남궁억(南宮檍)·이승만(李承晩) 등 개화 주역들의 집회소로 이용되었고, 3·1운동 당시에는 33인 중 한 사람인 목사 이필주(李弼柱)를 중심으로 학생 간부들이 기숙사에 모여 3·1운동의 거사를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전교생이 독립만세를 부르면서 대대적인 시위를 벌였으며, 일제에 의해 5대 교장이던 아펜젤러(H. D. Appenzeller)가 직위 해제를 당하기도 하였다. 또한 1889년부터 학교 기도회를 시작하여 교육을 통한 기독교 보급에도 앞장섰다. 특히, 신문화의 요람지로서 실험실습교육과 직업교육·학생연극·고적답사·수학여행 등을 최초로 실시하였으며, 교복·교모·교표·교가·교기·교훈 등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체육 분야에서는 1897년 우리나라 최초로 철봉을 설치한 것을 비롯해서, 1900년 정구반, 1902년 축구반, 1911년 야구반, 1920년 육상반, 1922년에 빙상반 등 15개 분야에서 학교 최초의 운동부를 조직하여 우리나라 스포츠의 요람 구실을 하였다. 현재는 운동부로 축구부·럭비부·농구부·야구부를 육성하고 있고, 그 외 학생활동으로 19개 동아리를 중심으로 계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신문 『배재신문』와 교지 『배재』를 정기적으로 간행하고 있고, 1955년『배재 70년사』, 1965년『배재 80년사』를 발간하였다. 1985년에는 개교 100주년을 맞아 기념탑의 건립 등 대대적인 행사를 거행하였고, 1989년『배재 100년사』를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한국 근대교육의 형성』(김경미, 혜안, 2009)
『한국근현대중등교육 100년사』(유봉호ㆍ김융자, 교학연구사, 1998)
『배재 100년사』(배재고등학교, 1989)
「개화기 배재학당의 교육과정 운영」(류방란, 『교육사학연구』8, 1998)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on in Korea(L. G. Paik, Pyen yang, Union Christan College Press, 1929)
배재고등학교(www.paichai.hs.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