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 ()

목차
인문지리
지명
경기도 안성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내혜홀(奈兮忽), 안성(安城)
목차
정의
경기도 안성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고구려의 내혜홀(奈兮忽)이었는데, 백제의 영토가 된 뒤에도 그대로 사용하였다. 757년(경덕왕 16) 백성군으로 고쳐 한주(漢州)에 속하였으며, 사산(蛇山)과 적성(赤城)의 두 속현을 두었다. 문무왕 때 당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신라군과 당나라 군사가 이곳에서 싸워 신라군이 백성으로 후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태조 때 안성(安城)으로 이름을 바꾸어 현으로 하였으며, 1362년(공민왕 11) 군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른다. 1361년 홍건적이 이곳을 침입하자 수령이 계략을 세워 적의 괴수를 참하여 이곳 남쪽을 범하지 못하게 하였으므로 그 공로로 천안에 예속된 현을 군으로 승격시켰다. 백성의 지명 유래는 ‘깨끗하고 조용한 고을’이라는 의미에서 나왔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대동지지(大東地志)』
『지방행정지명사(地方行政地名史)』(내무부, 198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