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청화 투각 모란당초문 항아리 ( 아리)

목차
관련 정보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후기의 백자 항아리.
이칭
이칭
백자투조모란문호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백자 항아리.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직립된 입부분에 어깨에서부터 급히 벌어졌다가 서서히 좁아진 모습의 항아리로, 내외(內外)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안의 것은 문양이 없으며 밖의 것은 투각수법(透刻手法)으로 몸체 전면에 활짝 핀 모란과 그 줄기·잎을 표현하였으며, 어깨부분에는 청화(靑華 : 중국에서 나는 푸른 물감)로 간결한 당초문대(唐草文帶)를, 허리 밑부분에는 양각(陽刻)의 여의두문(如意頭文)과 넓게 홈이 난 양각대선(陽刻帶線)을 둘렀다.

유색(釉色)은 담청(淡靑)을 머금은 백자유(白磁釉)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施釉)되었으며 은은한 광택이 있다. 굽다리는 안바닥을 깎아 세웠으며, 가는 모래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유색이 담청을 머금은 백자유인 것으로 보아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되는 경기도 광주군 분원요에서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필통 등에 다양하게 투각되던 모란문양의 표현과 여의두문의 존재로 보아 1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항아리에 이처럼 복잡한 투각의 문양이 있는 것은 희귀한 예로서, 특별한 용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항아리 아래 부분에는 몇 군데 수리한 흔적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