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구연부가 밖으로 벌어지며 어깨부분에서 급히 팽창되어 벌어졌다가 둥근 곡선을 이루며 서서히 좁아진 몸체를 가지고 있다. 뚜껑은 접시를 뒤집어놓은 모양으로 상면 중앙에 연봉형(蓮峰形)의 꼭지가 세워져 있고 그 주위는 2단의 층단을 이루고 있다. 작은항아리의 형태는 큰항아리를 그대로 닮았다. 굽바닥은 안으로 깎아 세웠으며, 굽다리에는 가는 모래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유색은 담청을 띤 맑은 백자유(白磁釉)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은은한 광택이 난다. 태토(胎土)는 정선된 백토를 사용하여 양질이며, 궁중용 백자로 추정된다. 단정하고 위엄이 있는 이 백자호들은 경기도 광주 일대 우산리·번천리 등의 요(窯)에서 16세기 전반경에 의기(儀器)로 특별히 제작된 뛰어난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