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국 ()

고대사
지명
한강유역에 있었던 마한(馬韓)의 소국(小國).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강유역에 있었던 마한(馬韓)의 소국(小國).
개설

백제국(伯濟國)은 훗날 백제(百濟)로 성장 발전하였다. 부여계 고구려 이주민인 온조(溫祚) 집단에 의해 형성된 정치집단이다.

형성 및 변천

백제국 초기의 중심지는 위례성(慰禮城)이었으나 그 뒤 한성(漢城)으로 옮겼다. 위례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크게 북한산 지역으로 보는 강북설(江北說)과 서울특별시 강동구 풍납동 또는 충청남도 직산지역 혹은 광주시 춘궁리 일대로 보는 강남설(江南說) 등 두 가지 설이 있다. 한편 초기의 구(舊) 위례성은 강북의 북한산 지역에 있었으나, 4세기 초엽 경기도 광주 경안지역으로 옮긴 것이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 즉 한성이라는 주장도 있다.

백제국은 초기에는 목지국(目支國)을 맹주로 하는 마한소국연맹체(馬韓小國聯盟體)의 한 구성원으로 존재하였다.『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에 의하면 부여계 고구려 이주민 세력인 위례지역의 온조집단은 마한왕에게 마한지역 일부 땅을 할양받아 한강유역에 정착하여 백제를 건국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미추홀(彌鄒忽: 인천지방)의 비류(沸流)집단을 병합하면서 한강유역의 지배권을 확립하고 선진적인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하면서 점차 지배영역을 확대해 목지국과 대등한 관계로 부상하였다.

2세기 중반 이후 한강 유역의 여러 소국들은 한군현(漢郡縣)과의 무력 충돌과정에서 현실적으로 공통 대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는데, 유력한 소국으로 성장한 백제국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것이다. 이후 백제국을 중심으로 소국 간의 통합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마한 북부의 소국들을 중심으로 한 연맹권역이 구축되었다.

그리고 3세기 고이왕(古爾王)대에는 대방군(帶方郡) 기리영(騎離營)을 공격해 태수(太守) 궁준(弓遵)을 죽이는 등 안성천 이남에서 아산과 온양 그리고 예산을 연결하는 차령 이북지역의 강력한 정치집단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관제(官制)의 정비 등 통치체제의 개편을 통해 4세기 이후 마한 전역을 통합하는 백제(百濟)왕국 건설의 기반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온조 집단의 이주 이후 3세기 간에 걸친 백제국 성장의 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농경에 적합한 한강유역의 생태학적인 조건 또는 부여족의 기마전술(騎馬戰術), 낙랑(樂浪)·대방·말갈(靺鞨) 등의 빈번한 침략 위협 등이 중요한 요인들로 추정된다.

이 밖에 경기도 양평군 대심리·이곡리, 가평군 마장리, 수원시 서둔동, 서울 강동구 풍납동 등 한강유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 초기철기시대 유적을 통해 온조 집단은 철기제작술을 습득한 집단이었거나, 또는 성장 초기에 철기제작 집단을 병합하고 있었을 것이다. 백제국이 마한소국연맹체에 대해 우세한 세력으로 부상한 것은 지배집단의 이러한 문화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삼국지(三國志)』
『후한서(後漢書)』
『주서(周書)』
『수서(隋書)』
「백제의 건국 시기와 주체세력」(김기섭, 『선사(先史)와 고대(古代)』27, 한국고대학회, 2007)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노중국 외, 서경문화사, 2007)
「백제왕실(百濟王室)의 남천(南遷)과 지배세력(支配勢力)의 변천(變遷)」(노중국, 『한국사론(韓國史論)』4,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8)
「백제사상(百濟史上)의 제문제(諸問題)」(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博英社), 1976)
「백제(百濟)의 국가형성(國家形成)」(이종욱, 『대구사학(大丘史學)』11, 1976)
「삼한(三韓)의 국가형성(國家形成) 하(下)」(천관우, 『한국학보(韓國學報)』3, 1976)
「百濟國都漢山考」(今西龍, 『史學雜誌』23-1, 1912;『百濟史硏究』, 近澤書店,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