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국예의 ()

목차
고려시대사
문헌
고려시대 외국사신의 영접과 사신 파견 등의 절차에 관해 서술한 의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외국사신의 영접과 사신 파견 등의 절차에 관해 서술한 의례서.
내용

편찬시기 및 편찬자는 미상이며 현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려사(高麗史)』 예지(禮志) 서문에서 밝혔듯이 『고려사(高麗史)』의 예지 편찬에 이용되었다. 그 구체적인 참고내용은 다음과 같다.

흉례(凶禮) 중의 상국상(上國喪)·상국사제전증부조위의(上國使祭奠贈賻弔慰儀), 빈례(賓禮) 중의 영북조조사의(迎北朝詔使儀)·영북조기복고칙사의(迎北朝起復古勅使儀)·영대명조사의(迎大明詔使儀)·영대명사로사의(迎大明使勞使儀)·영대명무조칙사의(迎大明無詔勅使儀), 가례(嘉禮) 중의 진대명표전의(進大明表箋儀)·원정동지상국성수절망궐하의(元正冬至上國聖壽節望闕賀儀)·원정동지절일조하의(元正冬至節日朝賀儀) 등이다.

따라서 이 책은 고려가 외국의 사신을 맞이하고, 또 외국에 사신을 파견하는 의식절차를 기술한 책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高麗史)의 연구(硏究)』(변태섭, 삼영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