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봉암사 극락전 ( )

목차
관련 정보
문경 봉암사 극락전
문경 봉암사 극락전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중건된 사찰건물. 불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문경 봉암사 극락전(聞慶 鳳巖寺 極樂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8년 09월 03일 지정)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원북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중건된 사찰건물. 불전.
내용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앞면 1칸, 옆면 1칸의 2층 건물로, 지붕은 겹처마의 사모지붕이다. 희양산(曦陽山) 기슭에 자리잡은 봉암사는 879년(헌강왕 5)에 창건된 뒤, 935년(태조 18)에 다시 고쳐 지었는데, 임진왜란 등 여러 차례의 전쟁으로 인해 자주 불탔지만, 극락전은 일주문과 함께 불타지 않았다고 전한다. 특히 극락전은 신라 경순왕이 피난하였을 때 원당(願堂)으로 사용하였기에, 현재에도 건물 안에 ‘어필각(御筆閣)’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건물은 법주사 팔상전(捌相殿)과 함께 현재 전하는 몇 안 되는 목탑(木塔)이다. 다소 높은 기단(基壇)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기단은 길고 네모난 널돌로 위아래에 덮개돌 모양을 구성하고 그 사이의 면석을 채운 모습이다. 기단 위에는 외진주(外陣柱) 12개와 내진주(內陣柱) 4개를 세워 결구(結構)하였다. 곧 윗덮개돌 위에는 건물 바깥쪽을 두른 기둥인 외진주가 3칸의 형식으로 놓여 1층을 이루고, 건물 안쪽에는 외진주보다 높이가 높은 기둥인 사천주(四天柱)를 받쳐 네모난 몸채를 만들었다. 건물 안의 바닥에는 ‘정(井)’자형의 우물마루를 깐 뒤 작지만 정교하게 장엄한 불단(佛壇)을 설치하였고, 기둥과 기둥 사이는 널벽[板璧]과 창호로 마감하였다.

공포(栱包)는 내외2출목(出目)의 다포(多包)로 구성하였는데, 기둥과 기둥 사이에 놓는 주간포(柱間包)는 4면의 각 면마다 2기씩 배치되었고, 심포는 모두 귓기둥의 귀포[隅包]로 처리되었다. 살미첨차는 바깥쪽은 짧지만치켜 올라간 모습이 힘이 넘치는 앙서[仰舌]형이고, 안쪽은 끝부분이 둥글게 깎인 교두(翹頭)형이다. 지붕은 각서까래[角椽] 홑처마로 이루어진 1층 지붕 위에 처마의 곡선이 늘씬한 겹처마의 2층 지붕을 모임지붕으로 만들었는데, 사모지붕의 가운데에는 상륜(相輪)을 두어서 탑의 요소를 두루 갖추게 하였다.

목탑 양식으로 건립된 이 건물은 기단 부분이 창건 당시의 것으로 보인다. 결구 수법 등이 독특하지만, 대체로 조선 중기의 수법을 잘 나타내고 있는 건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희양산 봉암사』(문경시 편, 문경시,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