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두 ()

목차
관련 정보
인천여객부두
인천여객부두
인문지리
개념
항구에서 배를 대고 여객이 타고 내리거나 짐을 싣고 부리는 항만시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항구에서 배를 대고 여객이 타고 내리거나 짐을 싣고 부리는 항만시설.
내용

자연 그대로의 지형·지물을 이용하기도 하나 인공적으로 해안의 일부를 매립하거나 축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부두의 발달은 여섯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처음에는 선박의 피난이나 접안이 유리한 만입해안(灣入海岸) 또는 내륙수로와 연결되는 하구(河口)에 배를 대기 쉽도록 작은 구조물을 설치하면서 시작된다. 제2단계는 부두의 확장 시기로 해안선을 따라 부두가 외곽으로 커지게 된다.

제3단계는 부두의 시설물들이 정교화되는 시기로 항만 시설의 규모의 확대 없이 짧은 방파제의 건설과 선거(船渠 : 선박을 건조하고 수리하기 위해 건설하는 설비)의 확충이 이루어진다. 제4단계는 적재와 하역량이 많아지고 접안해야 되는 선박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선거가 더욱 정교화되고 커지는 단계이다. 이때는 습선거(wet-dock) 및 이러한 선거와 연결되는 도로·철도 등이 건설되며, 수송 창고도 함께 들어선다.

제5단계는 단순한 직선의 대규모 부두가 건설되어 대형의 선박도 접안할 수 있는 단계이다. 제6단계는 전문화된 부두가 나타나는 단계로 무거운 화물, 컨테이너, 짐을 실은 자동차가 배에 그대로 승하선하게 되고(ro-ro), 여객과 화물의 종류에 따라 부두의 시설이 전문화되어 선박마다 이용하는 부두가 달라지는 단계이다.

우리나라 제일의 항구인 부산항에도 이와 같이 전문화된 8개의 부두와 국제 및 연안 여객의 부두가 있는데, 제1·2·4부두는 일반 잡화, 제5부두는 컨테이너, 제6부두는 양곡, 제7부두는 석탄·고철 및 광석, 제8부두는 특수 화물을 취급하도록 되어 있다.

개항 이후 서울의 관문 역할을 해 온 인천항에도 선박의 크기와 화물의 종류에 따라 접안하도록 되어 있는 8개 부두가 있다. 이외에 석탄의 하역만 따로 할 수 있는 석탄부두가 있으며 갑문식(閘門式) 독이 있어 대형 선박도 내항까지 들어올 수 있게 되어 있다.

참고문헌

『부일연감(釜日年鑑)』( 부산일보사, 1988)
『인천연감(仁川年鑑)』( 경인일보사, 1986)
『해운항만청(海運港灣廳)10년사(年史)』(해운항만청, 1986)
Transport Geography(White. H. P. and Senior. M. L., 1983)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