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상무학교 ()

목차
단체
1908년 함경남도 북청에 설립되었던 사립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08년 함경남도 북청에 설립되었던 사립학교.
연원 및 변천

1905년 을사조약의 체결을 계기로 일어난 교육구국운동의 전개에 따라 전국적으로 수천여 개의 사립학교가 설립되었고, 당시에 신설된 사립학교 중에는 농업·공업·상업 등을 가르치는 실업기술교육기관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북청상무학교는 상업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는 실업학교의 하나로 함경남도 북청에 설립되었다. 황성신문의 보도에 의하면 1908년에 함경남도의 북청군에 있는 상업회의사(商業會議社) 내에 사립상무학교를 설립하고, 상무학교의 유지를 위해 북청군내의 회사뿐만 아니라 부산과 마산의 회사와 유지들이 총 722원 50전의 의연금을 냈다.

북청상무학교는 여러해 동안 학생을 가르쳐오다가 1910년에 이르러 좌상(坐商) 이상열(李尙悅) 등 940명이 상무학교를 영구히 유지할 목적으로 임시특별총회를 열어 교육의 시급성을 설명한 후 매년 상무학교에 170원씩 출연 기부하기로 의결한 일이 있다.

선린상업학교를 졸업한 최붕기가 북청군 상무학교의 교사가 되어 주·야학 과정을 겸설하고, 상업에 필요한 교과로 상업교육을 실시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한말의 사립학교에 관한 연구Ⅱ」(김영우, 『교육연구』3, 공주사범학교교육연구소, 1986)
『매일신보』(1910.10.15)
『대한매일신보』(1910.5.20)
『황성신문』(1908.9.1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