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 하세동리 토광묘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함경남도 북청군 거산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움무덤. 토광묘.
이칭
이칭
북청하세동리 움무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함경남도 북청군 거산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움무덤. 토광묘.
내용

세동리에서 북쪽으로 약 30km에 있는 구루마골 어구에 위치한다. 1958년 관개용 수로공사중 지하 1m 정도에서 유물이 노출되어 발견되었다. 지표상에 봉분은 없고, 또한 바닥시설도 없었다는 것만 알려져 있을 뿐 자세한 내용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는 백동제품의 좁은놋단검, 놋과[銅戈], 수레굴대[車軸] 끝마구리 방울과 황동제품인 좁은놋창이 나왔다. 좁은놋단검은 칼몸[劍身]의 윗부분이 이미 없어지고 매듭 부분도 꺾어졌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도 이것이 전형적인 좁은놋단검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좁은놋창 끝은 몸이 비교적 짧으나 예리하고 둥실한 감을 주는 것이다. 놋과는 등날이 서고 끝부분이 비교적 짧으며 피홈이 있다. 수레굴대 끝마구리 방울은 둥근 것인데 사방으로 길쭉한 구멍이 나 있으며, 그 안에 작은 돌알이 들어 있다. 유적에서 나온 유물들은 한국 북서지방의 늦은 시기 좁은놋단검 관계의 움무덤들에서 나온 것들과 서로 통하는 것으로서 시기적으로는 기원전 2세기 전반기로 인정된다.

동해안 일대의 좁은놋단검 관계 유적·유물 갖춤새 전반에서 놋과가 특별히 많이 나오거나 독무덤[甕棺墓]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한국 북서지방의 좁은놋단검 관계 유적·유물 갖춤새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이렇듯 이 유적은 함남 일대에서 알려진 움무덤들과 거기에서 나온 유물들의 문화적 성격을 밝히는 데 있어서나 기원전 2세기경의 고조선의 동쪽 영역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를 준다.

참고문헌

「세형동검(細形銅劍)의 형식분류(形式分類) 및 그 변천(變遷)에 대하여」(이청규, 『한국고고학보(韓國考古學報)』13, 1982)
「한국청동유물(韓國靑銅遺物)의 연구(硏究)」(윤무병, 『충남대학교인문과학논집(忠南大學校人文科學論集)』Ⅱ-3, 1975)
「함경남도일대의 고대유적조사보고」(박진욱, 『고고학자료집』4, 1974)
「신창군 하세동리에서 드러난 고조선유물에 대하여」(전주농, 『문화유산』63-1,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