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의 첫 해일(亥日)에 시작하여 해일마다 세번에 걸쳐 빚는다고 해서 삼해주라고 하며, 정월 첫 해일에 담가 버들개지가 날릴 때쯤 먹는다고 해서 유서주(柳絮酒)라고도 한다. 고려 때부터 제조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약주이다.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산가요록(山家要錄)』·『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일명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요록(要錄)』·『산림경제(山林經濟)』·『주방문(酒方文)』·『양주방(釀酒方)』 등 많은 문헌에 그 제법이 기록되어 있다. 『추관지(秋官志)』에는 형조판서 김동필(金東弼)이 삼해주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서울로 들어오는 쌀이 삼해주 만드는 데로 쏠려 들어가니, 이를 막아달라고 진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는 널리 제조되었고 그 방법도 다양하였다. 조선시대 중엽 이후는 소주의 술덧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일성록(日省錄)』에는 “언제부터인지 정월의 첫 해일에 빚던 것이 어느 해일에나 빚게 되고, 또 약주보다 소주의 원료로 쓰이게 되어, 요즈음은 삼해주라 하면 소주의 밑술을 가리킨다고 생각하게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해주 만드는 법은 정월 첫 해일에 찹쌀 석 되를 백번 씻어 가루를 만들어 죽을 쑤어 식힌 뒤에 누룩 한 되를 섞어두었다가 두 번째 해일에 흰쌀 서 말을 백 번 씻어 가루로 만들어 물송편을 만든다. 이것을 차게 식혀 먼저 만든 밑술에 섞어 넣는다. 그리고 세 번째 해일에도 다시 한번 덧술하여 빚는다고 『규곤시의방』에는 기록하였다.
『산림경제』에서는 정월 첫 해일에 찹쌀 한 말을 백 번 씻어 가루로 만들어 묽은 죽을 쑤어 식힌다. 여기에 누룩가루와 밀가루 각 한 되를 섞어서 독에 넣는다. 다음 해일에 찹쌀과 멥쌀 각 한 말을 백 번 씻어 가루로 만들고 이것으로 술떡을 푹 끓여서 숱밑에 섞는다. 또 세 번째 해일에 백미 다섯 말을 백 번 씻어 떡으로 쪄서 식힌 것을 끓인 물 세 양푼에 풀어서 다시 덧술하여 3개월 동안 익혀낸다고 하였다.
특히, 서울의 동막 근처가 물맛이 좋아 삼해주의 명산지로 알려져 있다. 1985년 국세청에서 서울지방의 민속주로 지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