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나란 ()

목차
인문지리
지명
함경남도 삼수군의 압록강 대안(對岸)에 있었던 조선시대 여진족 거주지의 명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남도 삼수군의 압록강 대안(對岸)에 있었던 조선시대 여진족 거주지의 명칭.
내용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압록강 밖에 상나란이 있다고 했다. 상나란의 정확한 위치는 고증할 수 없으나, 삼수군의 치소(治所)가 조선 초기에 구갈파지(舊乫波知)였으므로, 장진강과 압록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대안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지역의 여진족은 명나라의 분류기준으로 건주여진(建州女眞)에 속하는데, 건주여진은 다른 여진족에 비해 침략성이 강하여 국경을 자주 침범하므로 세종 때 사군육진을 개척하여 방비를 튼튼히 했다. 삼수의 치소를 세조 때 내륙으로 옮긴 것도 이들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상나란은 상나라(上那羅)와 흡사한 음을 가졌으므로 ‘윗 부족국’의 뜻을 가지는 것 같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한국사(韓國史)』(진단학회,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