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연비람 ()

목차
유교
문헌
서연관이 왕세자에게 가르치던 경전의 요지를 수록한 강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연관이 왕세자에게 가르치던 경전의 요지를 수록한 강론집.
내용

저자·연대 미상. 1책. 필사본.

이 책은 왕세자로서 반드시 익혀야 할 내용들을 발췌한 것으로, 사서오경 등의 경전에 대해 송대의 주돈이(周敦頤)·장재(張載)·정호(程顥)·정이(程頤)·주희(朱熹) 등이 설명한 것을 인용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특히, 양덕(養德)·천명(天命)·민심(民心)·천시(天時)·인사(人事)·군덕(君德)·군도(君道)·명량상우(明良相遇)·제가(齊家)·수신(修身)·붕우(朋友)·정심(正心)·성의(誠意)·치지(致知)·격물(格物)의 뜻을 밝히고,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이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