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

목차
관련 정보
서울기계공업고등학교
서울기계공업고등학교
단체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있는 공립 전문계 고등학교.
이칭
이칭
서울공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있는 공립 전문계 고등학교.
연원 및 변천

뒤떨어진 실업교육의 개발을 목적으로 고종의 칙령에 의해 1899년 5월 서울 명동에서 관립상공학교로 개교하였다. 1904년 관립농상공학교로 개편하였으며, 관립농상공학교의 교육과정 중 공과(工科)가 1906년에 관립공업전습소로 개편되어 독립하였다. 1

1910년 관립공업전습소에서 경성공업전습소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16년 경성공업전문학교로 개칭하면서 부속공업전습소를 설치하였다. 1922년 3년제 경성공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조가과(造家科)·기계과·기직과(機織科)·화학제품과·제도과(製陶科) 등의 5개 과를 설치하였고, 1939년 서울시 동작구 대방동 현재의 위치에 교사를 이전하였다.

1940년 경기중학교 구내 가교사에서 설립되었던 경성공립공업학교를 통합하면서 관립에서 공립으로 개편하여 교명을 경성공립공업학교로 변경하였고, 건축과·기계과·기직과·응용화학과·요업과·광산과·토목과·전기과 8개 과를 설치하였다.

1944년 항공과를 신설하였고, 1946년 9월 6년제 서울공립공업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8월 학제개정에 따라 서울공업고등학교와 영등포중학교로 분리되었다. 1962년 4월 단기직업보도소, 같은 해 10월 공업기술연수원을 부설하였다. 1970년 3월 현직 기능인 육성을 위한 특별과정으로 야간부에 기계과와 전기과를 설치하였다.

1974년 3월 정규 과정의 야간부를 설치하여 방직과·화공과·금속과·전자과·자동차과의 5개 과로 편성하였고, 같은 해 7월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가 운영하던 영등포청소년직업학교를 인수하여 부설하였다.

1976년 3월 「산업교육법」에 의하여 기계제도과·기계조립과·토목공학과로 편성된 실업기술원양성소를 부설하였고, 3학년 재학생 150명으로 구성된 중점기능공 양성 시범반을 중동에 산업인력으로 파견하였다.

1978년 3월 정부의 공업고등학교 특성화 정책에 따라 정밀가공 기술인력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서울기계공업고등학교로 개편하였다. 1979년 2월 야간부를 폐지하였으며, 1983년 3월 부설영등포청소년직업학교가 서울직업학교로 분리, 독립하였다. 1994년 1월 본래의 교명인 서울공업고등학교로 환원하였다.

현황

2010년 현재 15개 과, 54학급에 총 1,912명의 남녀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170여 명이 재직하고 있고, 100회 졸업식을 거치면서 총 5만 5,71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훈은 ‘개척·협동·봉사’이다.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첨단기술을 익혀 국가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우수한 인재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67년 스페인에서 열린 국제기능올림픽에 한국 최초로 참가하여, 판금용접 부문 입상을 시작으로 하여 1969년 대회에서 4개의 메달, 1971년 대회에서 2개의 메달, 1979년부터 1993년까지 8개의 메달 수상하는 등 한국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1975년 새마을 우수교로 새마을훈장 협동장, 1984년 새마을 우수교로 대통령 단체 표창, 2006년에 전국기능경진대회 우수선수 육성기관 금탑을 수상하였다. 방송반·도서반·보도반·축구부 등의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고, 매년 관악제(冠岳祭)를 개최하여 실습 작품전 및 문예 작품전을 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근현대중등교육 100년사』(유봉호·김융자, 교학연구사, 1998)
서울공업고등학교(www.seoul-th.hs.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