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세언적 ()

고전산문
문헌
조선후기 문신 박영원이 고령박씨 문중의 7대 내간을 모아 엮은 전집.
정의
조선후기 문신 박영원이 고령박씨 문중의 7대 내간을 모아 엮은 전집.
개설

1책. 필사본. 박장원(朴長遠)의 어머니로부터 경규(敬圭)의 계비에 이르기까지의 내간이다.

편찬/발간 경위

서첩의 성립시기는 1851년(철종 2) 이후 1854년 사이로 보인다. 이 서첩을 작성하였으리라 믿어지는 박영원은 박장원의 7대 종손으로, 그가 죽은 해가 1854년이기 때문에 이 서첩의 성립을 그 이전으로 보게 되는 것이다.

내용

내용은 박장원의 어머니인  청송심씨의 내간 2편, 박장원의 부인  해평윤씨의 내간 2편, 박장원의 맏며느리 청주한씨의 내간 2편, 빈의 맏아들 성한(聖漢)의 부인  남양홍씨의 내간 2편, 성한의 계비  해주정씨의 내간 1편, 성한의 맏아들 광수(光秀)의 부인  삭녕최씨의 내간 1편, 광수의 계비  여주이씨의 내간 2편, 성한의 둘째아들 용수(龍秀)의 부인  안동권씨의 내간 2편, 광수의 아들 춘영(春榮)의 부인  덕수이씨의 내간 3편, 춘영의 아들 경규의 부인  경주이씨의 내간 2편, 경규의 계비  연산서씨의 내간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어머니가 아들에게,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할머니가 손자에게, 아내가 남편에게 등 여성이 집안사람들에게 보낸 것이다. 가장 적은 독자를 전제로 하여 쓰여지는 은밀한 글인 동시에 가장 보편적인 서사언어(書寫言語)의 양식이라는 내간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특히, 이 내간은 17세기 중엽의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약 150년간의 것이며, 한 집안 7대의 수필을 한군데 모았다는 점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선세언적』과 『자손보전』에 실린 17~19세기 여성 한글 간찰의 특질 고찰」(김정경, 『정신문화연구』34권 4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선세언적에 대하여」(김완진, 『국어국문학』55∼57, 197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