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동 비둘기 ( 비둘기)

목차
관련 정보
성북동 비둘기 /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 김광섭
현대문학
문헌
범우사에서 김광섭의 시 「성북동 비둘기」 · 「봄」 · 「꽃 단상」등을 수록하여 1969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범우사에서 김광섭의 시 「성북동 비둘기」 · 「봄」 · 「꽃 단상」등을 수록하여 1969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변형A5판. 112면. 작자의 제4시집으로, 1969년 범우사(汎友社)에서 발행되었다. 이 시집으로 1970년도 문화공보부예술상을 수상하였다.

고혈압으로 졸도한 이후 병석에서 쓴 시들을 묶은 것으로 만년의 원숙경을 보여준 대표적 시집이다.

내용

자서(自序)에 이어 「봄」·「꽃 단상(斷想)」·「황혼이 울고 있다」·「생의 감각(感覺)」·「고향」·「심부름 가는」·「성북동 비둘기」·「가을」·「각운(脚韻)여·야」·「서울 크리스마스」·「겨울날」·「할아버지」·「신년 1968년」·「산」·「무제(無題)」 등 35편이 수록되었다.

지성과 감성을 융합하여 그 속에 흐르는 서정적 논리를 심화된 형상으로 응결시킨 작품집이다. 초기의 관념적이고 사변적인 서정감각에서 탈피하여 따듯한 인간애와 조국애가 자연스럽게 표출되어 있다. 여기서는 인생과 자연과 문명 등의 근원적 문제들이 문명비평적 차원에서 형상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대표작 「성북동 비둘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석장의 비둘기로 상징된 현대인이 기계문명에 의하여 점점 살벌해지고 속화해가는 현실에서 순수한 자연과 평화가 발붙일 곳 없음을 개탄함으로써 평화로운 세계를 갈구하는 상념이 전편에 흐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인연구(韓國現代詩人硏究)』(김재홍, 일지사, 1986)
『한국현대시해설(韓國現代詩解說)』(김현승, 관동출판사, 1984)
『한국대표시평설(韓國代表詩評說)』(정한모·김재홍 편저, 문학세계사,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