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집요찬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홍의영이 이이의 『성학집요』를 그 절목에 따라 변려체로 찬을 붙여 1811년에 간행한 유학서.
이칭
이칭
성학집요삼십삼찬(聖學輯要三十三贊)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홍의영이 이이의 『성학집요』를 그 절목에 따라 변려체로 찬을 붙여 1811년에 간행한 유학서.
내용

1책(14장). 필사본. 일명 『성학집요삼십삼찬(聖學輯要三十三贊)』으로 불린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규장각도서해제』에 홍의영(洪儀永)이 홍문관교리로 재직하던 1811년(순조 11) 찬진한 것으로 기록하여 이후 모든 책에서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나 이 책에는 전혀 찬자를 알리고 있는 구절이 보이지 않는다.

표지에 ‘옥당진사(玉堂進辭)’라는 표제가 붙고 ‘신미(辛未)’라는 간기(刊記)가 있어 1811년의 찬진본(撰進本)임은 추찰할 수 있다. 『순조실록』에는 순조 8년조에 홍의영 등 2인이 옥당에서 진고사(進故事)하여 왕의 비답(批答)을 얻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 책에 관한 언급은 보이지 않으며, 11년조에도 아무런 언급이 없어 더욱 찬자를 상고하기 어렵다.

『성학집요』의 순서에 따라 통설(統說)·총설수기(總說修己)·입지(立志)·수렴(收斂)·궁리(窮理)·성실(誠實)·교기질(矯氣質)·양기(養氣)·정심(正心)·검신(檢身) 등으로부터 교민(敎民)·위정공효(爲政功效)·도통(道統) 등 총 33개조의 찬문(贊文)으로 되어 있다. 표제나 찬문의 표현내용 등으로 보아 옥당에서 임금에게 시강(侍講)하기 위해 쓴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성학집요찬(聖學輯要贊)』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