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삼강행실도 ()

목차
관련 정보
속삼강행실도
속삼강행실도
문헌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신용개 『삼강행실도』의 속편으로 1514년에 편찬한 교훈서. 행실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신용개 『삼강행실도』의 속편으로 1514년에 편찬한 교훈서. 행실도.
내용

1책. 필사본. 『삼강행실도』는 본래 1434년(세종 16)에 집현전 부제학 설순(偰循)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언해는 성종 때에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는 『삼강행실도』 이후의 뛰어난 효자 36인, 충신 6인, 열녀 28인의 사례를 추가하였다. 각 예의 끝머리에 7절 2수(首)의 찬시를 붙이고, 각 사례마다 삽화를 하나씩 그려 넣었다. 그 뒤 여러 차례 중간되었으며, 1797년(정조 21)에는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의 두 책을 합하여, 5권 4책의 『오륜행실도』를 편찬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사람은 모두 150인으로서 효자(33인)·충신(35인)·열녀(35인)·형제(24인)·종족(7인)·붕우(11인)·사생(師生, 5인) 등의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수록인물 대부분이 중국인이고 우리나라 사람은 17인(효자 4인, 충신 7인, 열녀 6인)에 지나지 않는다.

이 책의 내용과 특색에 대하여 규장각직제학 이만수(李晩秀)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을 말하면, 위로 순결한 행실과 아름다운 절개를 싣고 옆으로 높은 공열(功烈)과 거룩한 일만을 채취한 다음, 글로 기록하고 그림으로 형용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책을 펴서 한 번만 눈으로 보아도 그 감동된 마음과 애절한 심경이 자연히 생기게 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유학적 가치덕목을 민간에 깊이 이식하고자 한 것이 이 책의 편찬의도임을 알 수 있다. 『속삼강행실도』와 비슷한 책으로는 『동국신속삼강행실』이 있다. 또한 1904년부터 1909년 사이의 충·효·열의 삼강을 엮은 『속수삼강록(續修三綱錄)』도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의 교육명저순례』(정순목, 배영사, 1985)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