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정문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정문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2권 6책. 목판본. 후손에 의하여 편집,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나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 및 연도를 알 수 없다. 이 책은 영인본으로 간행, 보급되어 있다.

권1·2에 시 173수, 권3∼8에 서(書) 149편, 잡저 19편, 기(記) 8편, 권9에 지발(識跋) 5편, 잠찬(箴贊) 2편, 뇌문(誄文) 3편, 축문 4편, 제문 23편, 권10은 제문 14편, 전(傳)·묘지 각 1편, 권11은 유사 4편, 권12는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자연 풍경을 노래한 서경시가 많다. 이는 소년시절 아버지 범휴(範休)를 따라 안변(安邊)에 가서 생활할 때 그 곳의 명승지를 많이 유람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이밖에 유휘문(柳徽文)·유건휴(柳建休)·유병문(柳炳文) 등 친족들과 창수한 차운·화답류의 시가 상당수에 이른다.

서는 방대한 분량으로 대개 경의(經義) 해석에 관한 훈고학적 내용이며, 시문에 관한 자신의 식견을 언급한 것도 있어 그 학문적 깊이를 살펴볼 수 있다.

잡저 중 「관계잡지(窾啓雜識)」는 그가 학문 연구나 일상생활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구절을 여러 책에서 뽑아 엮은 것이다. 경학(經學)·예학(禮學)·성리학 등 학문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생활에 귀감이 되는 경구 등을 모아 놓았다. 그 가운데에는 불교서인 『치문경훈(緇門警訓)』의 구절도 들어 있어 저자의 박학함을 짐작할 수 있다.

「근사록집해증산(近思錄集解增刪)」은 송나라의 섭채(葉采)가 편집한 『근사록집해』에 대하여 잘못되었거나 미진한 곳을 가감, 수정, 증보하여 주석한 것이다. 주희(朱熹)·정호(程顥)·정이(程頤)·장식(張栻) 등과 우리나라의 이황(李滉)·이상정(李象靖) 등의 주를 세자(細字)로 수록하고 자신의 의견을 아울러 첨부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