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문자집 ()

목차
관련 정보
신구문자집
신구문자집
구비문학
문헌
1923년 김동진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숙어 · 문자 · 속담 · 파자 등을 모아 엮은 사전. 관용어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23년 김동진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숙어 · 문자 · 속담 · 파자 등을 모아 엮은 사전. 관용어사전.
개설

A5판, 112면. 1923년 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간행하였다. 원제명은 『무쌍주해(無雙註解) 신구문자집(新舊文字集) 부파자급(附破字及)수수꺽기』로 되어 있다. '무쌍주해(無雙註解)'와 '부파자급(附破字及)수수꺽기'는 제목에 붙어있는 설명문으로 제목보다 작은 글씨로 썼다.

내용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쓰이는 숙어·문자·속담·파자·수수께끼 등을 모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놓은 것으로,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제1부에서는 보통용의 속담 문자를 자수별로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각 어휘마다 간단한 뜻풀이를 하고 있다. 예컨대, 2자(字) 가부(部) “가직(家直):첩의 별명”, 3자 나부 “농부가(農夫歌):메나리”, 5자 아부 “여율령시행(如律令施行): 엄중히 시행하는 사(事)” 등과 같은 것이다. 여기에 수록된 숙어의 수는 2자 1,566개, 3자 658개, 4자 1,175개, 5자 69개, 6자 26개, 7자 6개, 8자 2개 등 모두 3,502개이다.

제2부에서는 ‘三(삼)’자로부터 ‘十(십)’자까지 각각 그 자에 대한 문자를 수집·주해하고 있다. 예컨대, “삼강(三綱):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 “사궁(四窮): 환(鰥)·과(寡)·고(孤)·독(獨)”, “칠규(七竅): 이(耳)·목(目)·구(口)·비(鼻)” 등과 같다. 여기에 수록된 어휘의 수는 3자 49개, 4자 24개, 5자 29개, 6자 22개, 7자 8개, 8자 8개, 9자 5개, 10자 8개 등 모두 153개이다.

제3부에서는 국문으로 된 일상속담문자 총 203개를 가나다순으로 모아 그 뜻풀이를 하고 있다. 예컨대, “가물에 콩 나기: 극히 희소한 사(事)의 비(譬)”, “닷곱장님: 시력이 약한 인(人)”, “콩팔칠팔: 잡담을 위하는 사(事)” 등과 같은 것이다.

제4부에서는 수수께끼 총 260개를 가나다순으로 모아 일련번호를 붙이고 해답에도 역시 같은 번호를 붙였다. 예컨대, 가부 (1)에 “가죽 속에 털 난 것이 무엇이냐?”에 대하여 끝에 붙인 ‘풀이’ (1)에는 ‘옥수수’, 나부 (31)에 “나는 새의 새끼가 날지 못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대하여는 ‘풀이’ (31)에 ‘구더기’로 나타난다.

제5부에서는 한자(漢字) 파자(破字)를 수집하여 제4부와 같이 처리하고 있다. 예컨대, (1)“곰배팔이 사람 치는 것이 무슨 자(字)냐?”에 대하여 그 해답 (1)은 ‘以(이)’자이고, (60)“앉으면 소 되는 성자(姓字)가 무슨 자냐?”의 해답 (60)은 ‘尹(윤)’자로 나타난다. 여기에 모아 놓은 파자의 총수는 105개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의 가치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던 한자 어휘 가운데 상당수를 채집하여 수록하였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 책 끝에 붙어 있는 수수께끼의 모음은 우리나라 최초의 것이다.

참고문헌

『구비문학개설』(장덕순 외, 일조각, 197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