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서 ()

목차
고려시대사
문헌
943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훈요십조」를 지어 남겨둔 동기와 목적을 기술한 어제서. 서문.
목차
정의
943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훈요십조」를 지어 남겨둔 동기와 목적을 기술한 어제서. 서문.
내용

총 96자로 이루어진 유훈의 글로, 「훈요십조(訓要十條)」의 간단한 서문에 해당된다. 3차에 걸친 거란의 병란에 의해 고려의 『칠대실록(七代實錄)』이 소실되면서 이 글과 「훈요십조」가 일실되었는데, 문종 때 태사 문하시중(太師門下侍中)을 지낸 최제안(崔齊顔)이 최항(崔沆)의 집에 보관되었던 것을 찾아냄으로써 지금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그 내용은, “내가 듣건대 대순(大舜)은 역산(歷山)에서 농경을 하다가 마침내 요(堯)의 선위를 받았고, 한나라 고조(高祖)는 패택(沛澤)에서 일어나 드디어 한나라의 제업(帝業)을 일으켰다고 한다. 나도 또한 미천한 가문에서 일어나 잘못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여름에는 더위를 두려워하지 않고 겨울에는 추위를 피하지 않았으며, 몸과 마음을 괴롭힌 지 19년 만에 삼한(三韓)을 통일하였고, 외람되게 왕위에 있은 지 25년이 되어 몸은 이미 늙었노라. 다만, 후손들이 정욕(情慾)을 함부로 부려 기강을 어지럽힐까 크게 근심하는 바이다. 이에 훈요를 지어 이를 후세에 전하노니, 바라건대 아침 저녁으로 펴보아 영원히 귀감으로 삼아야 한다.”라는 것으로,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지어 남겨둔 동기와 목적을 기술하고 있는 글이라 할 수 있다. →훈요십조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사(韓國史)-중세편(中世篇)-』(이병도, 을유문화사, 196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