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록형지안 ()

목차
관련 정보
실록형지안
실록형지안
조선시대사
문헌
실록의 열람이나 이동 사항에 대한 목적 · 절차 · 규정 등을 기록한 문서. 관문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실록의 열람이나 이동 사항에 대한 목적 · 절차 · 규정 등을 기록한 문서. 관문서.
내용

실록을 사고(史庫)에 봉안(奉安)한 사실을 기록한 봉안형지안을 비롯해 포쇄(曝曬 : 먼지나 습기 등을 털거나 말림) 때마다 점검한 내용을 기록한 것, 고출(考出 : 참고로 살펴보기 위해 내어 봄) 때의 것 등 여러가지 사례별로 형지안을 작성하였다.

일반적으로 형지안에는 어떤 이유로 형지안을 작성했는의 목적, 형지안이 작성될 당시의 실록을 담아놓은 상자의 명칭(주로 천자문 자호로 됨.), 그 상자 속에 담긴 실록의 표지 이름과 권수·책수, 작성자의 관명과 인명, 날짜 등을 기록하고, 수결(手決)과 날인을 하였다.

형지안이 언제부터 있어왔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실록이 조선시대에서 처음 편찬된 태종 때에 『대송반악도(大宋頒樂圖)』를 참고하려고 충주사고의 형지안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어서, 고려시대부터 있어왔다고 추측할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것으로는 임진왜란 이전은 매우 드물고, 조선 후기의 것이 많이 남아 있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1588년(선조 21)과 1591년의 『전주사고포쇄형지안』이 있고, 1594년의 『해주사고포쇄형지안』, 1599년 및 1601년의 『영변사고포쇄형지안』, 1603년의 『강화부사고포쇄형지안』 등이 있다.

종류로는 포쇄형지안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봉안형지안·봉심형지안(奉審形止案)·수개형진안(修改形止案)·환안형지안(還安形止案)·고출형안(考出形止案)·염랍급수보시형지안(染蠟及修補時形止案) 등이 있다.

이로 미루어보아 형지안은 사고를 열어볼 때마다 실록의 보존된 상태를 자세히 조사하면서 보존 상태의 점검 상황을 적어놓은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이동·분실 등의 시기와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忠州史庫의 沿革과 管理(李相泰, 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강화사고(江華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정태헌,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김용곤,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강영철,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조선사고(朝鮮史庫)의 장서관리(藏書管理)」(배현숙, 『규장각(奎章閣)』 2, 1978)
「李朝實錄考略」(末松保和, 『靑丘史草』2, 1966)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