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장생도 ()

목차
관련 정보
십장생도 병풍
십장생도 병풍
회화
개념
불로장생을 기원하며 이를 상징하는 상징물을 소재로 그린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로장생을 기원하며 이를 상징하는 상징물을 소재로 그린 그림.
내용

그림에 나타난 장생물(長生物)의 숫자가 유동적이어서 그냥 장생도라고도 부른다. 또 대상 중 한 가지만을 강조하여 그리는 경우에는 군학십장생도(群鶴十長生圖) · 군록십장생도(群鹿十長生圖) 등의 명칭이 붙게 된다.

십장생으로는 보통 해 · 구름 · 산 · 물 · 바위 · 학 · 사슴 · 거북 · 소나무 · 불로초를 꼽지만 그림 속에는 대나무와 천도(天桃)가 많이 다루어져 열 가지가 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들 장생물은 한국인의 토속 자연물 숭배 사상을 기반으로 중국의 신선사상(神仙思想)을 수용하여 이루어졌다. 즉, 천신(天神) · 일월신(日月神) · 산악신(山岳神) 등의 무속 신앙이 바탕이 되어 여기에 학 · 불로초 · 천도복숭아 · 대나무 등으로 대표되는 신선 사상이 결합되어 성립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림의 표현 대상은 학 · 사슴 등이 놀고 있는 선경(仙境)의 모습으로 환상적인 분위기 묘사에 중점을 둔다. 산 · 바위 · 소나무 · 구름 · 바다 등으로 주요 배경을 구성하고, 거기에 알맞게 학 · 사슴 · 거북 등을 배치한다. 천도복숭아 나무가 강조되기도 한다. 그리고 불로초는 버섯 모양으로 표현된다.

보통 오른편에서 그림이 시작되어 중심에 사슴이나 학들을 배치한다. 왼편에는 바다와 거북을 그린다. 색채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려 상상 속의 선계(仙界)를 형상화시켰다.

특히 산 · 바위의 묘사에 화원풍(畫員風)의 청록산수화법(靑綠山水畵法)이 즐겨 사용된다. 따라서 민화 중 특히 채색의 효과가 탁월한 작품들이 이 부류에 많다.

십장생도의 시원 양식(始源樣式)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고려 말 이색(李穡)의 글에 이 그림에 대하여 자세한 언급이 있다. 현존하는 것은 대개 조선 후기 이후에 그려진 것이다.

그중에 도식적인 묘사법과 채색을 한 작품이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보여 구도나 채색이 뛰어나고 화원풍의 그림들이 많다. 대상의 표현이나 채색이 자유롭고 장식성이 강조된 작품들은 늦은 시기에 유행한다.

대부분 8∼10폭으로 연결된 병풍 그림이며, 간혹 두세 개의 장생물로 각 폭을 구성한 것도 남아 있다. 따로 서너 가지를 모아서 송학도(松鶴圖) · 해구도(海龜圖) · 송록도(松鹿圖) 등의 별개 그림이 제작되기도 한다.

정초에 왕이 중신들에게 장생도를 새해 선물로 내렸다 하는 기록에 의하여 십장생도는 주로 상류 계층의 세화(歲畫)와 축수용(祝壽用) 그림으로 사용되었다.

또 궁중연회도(宮中宴會圖)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왕비 자리의 뒤편을 장식하고 있다. 이 밖에 회갑이나 은혼식 때 제작, 사용되었다.

십장생도는 회화뿐 아니라, 조선시대의 도자기 · 나전 공예품 · 목 공예품 · 자수품 · 벼루 및 건물 · 벽의 장식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예는 경복궁 아미산(娥嵋山)에 있는 굴뚝으로서, 부조(浮彫)된 장생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현존 작품들 가운데에는 상류 계층에서 사용되었던 화원풍의 작품들이 다수 남아 있으며, 순수 민화풍의 작품도 많은 편이다.

참고문헌

『한국민화』(김호연, 경미문화사, 1977)
『한국의 미-민화-』(김철순감수, 중앙일보사, 1981)
『조선시대 민화』(조자용·김철순, 예경산업사, 1989)
『李朝民畵』(日本 講談社, 1975)
『李朝の民畵』(日本 講談社,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