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생활 (아이)

목차
관련 정보
아이생활
아이생활
개신교
문헌
1926년에, 조선 주일 학교 연합회에서 어린이를 위하여 발행한 잡지.
이칭
이칭
아희생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6년에, 조선 주일 학교 연합회에서 어린이를 위하여 발행한 잡지.
내용

조선주일학교연합회에서 발행하였으며, 창간 당시의 제호는 ‘아희생활’이었다. 1926년 3월 창간되어 1944년 4월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창간 당시의 발행인은 나의수(羅宜秀), 편집인은 정인과(鄭仁果)였는데, 그 뒤 발행인은 허대전(許大殿, Holderoft, J. G.) · 반우거(班愚巨, BonWick, G. W.) · 안대선(安大善, Anderson, W. J.) · 한석원(韓錫原)의 순으로 대를 이었다.

편집인은 정인과 · 한석원의 순으로, 그리고 편집실무는 전영택(田榮澤) · 방인근(方仁根) · 이윤재(李允宰) · 최봉칙(崔鳳則) · 임홍은(林鴻恩) · 한석원 등으로 교체되었다.

편집내용은 동화 · 동시 · 소설 등 문예작품과 역사사화 · 성경이야기 · 위인전기 · 세계명작 소개 등의 교양물, 그리고 일기 · 동화 · 동시작법 등으로 다양하여 많은 어린이들에게 꿈과 소망을 심어준 잡지였다. 일제하에서 얼마 되지 않는 어린이잡지의 하나로 많이 애독된 순수한 교양잡지로도 각광을 받았다.

참고문헌

『대한기독교교육사(大韓基督敎敎育史)』(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7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