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곡은 조선시대 당시 동복현에 있었던 고읍(古邑)으로 나타나는데, 동복에 합쳐진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압곡의 위치는 백아산(白鵝山, 또는 白鴉山) 남쪽 용곡리(龍谷里)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에는 고개를 사이에 두고 남쪽의 수촌고읍(水村古邑)과 마주 대하고 있었다. 북쪽으로 곡성군 옥과(玉果)와 남쪽으로 동복을 잇는 교통로가 발달하였었다.
이곳에 북창(北倉)이 있었고, 배존천(背存川)이라는 하천이 있던 것으로 보아 소백산맥 계곡의 분지를 이루는 지역에 발달하였던 작은 마을로 보인다. 압곡이라는 지명은 지형의 생김새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동복면 지역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