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생언경촬요 ()

목차
관련 정보
양선생언경촬요
양선생언경촬요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박종후가 주희와 이황의 저술 중 경(敬)에 관한 글을 발췌하여 편찬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박종후가 주희와 이황의 저술 중 경(敬)에 관한 글을 발췌하여 편찬한 유학서.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19년 간행되었다. 권두에 곽종석(郭鍾錫)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편자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은 회암편(晦菴編)으로 48조목, 권2는 퇴계편(退溪編)으로 47조목이 수록되어 있다.

회암편의 「답맹양부서(答孟良夫書)」는 경을 지키는 것이 매사의 요체임을 역설한 것으로, 경이 성학(聖學)의 근본임을 시사하려는 편자의 의도가 엿보인다. 「답하숙경서(答何叔京書)」에서는 인격수양에서 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퇴계편의 「답김돈서서(答金惇敍書)」에서는 경의 전반적 의미를 광범한 해설을 통하여 밝히고 경의 주체성을 주장하였다. 「답조기백서(答趙起伯書)」는 경이 결여된 방심(放心)의 상태에 관하여 논증한 것으로, 심신의 수련이란 오로지 경을 지킴으로써 가능하다고 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