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행록 ()

목차
문헌
이홍림이 언행에 관한 제현들의 명구와 잠언 등을 수록한 교훈서. 교육서 · 지침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이홍림이 언행에 관한 제현들의 명구와 잠언 등을 수록한 교훈서. 교육서 · 지침서.
내용

연대 미상. 1책. 목판본. 이 책은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언행을 가려 뽑고, 이에 관한 제현의 전주(傳注)를 단 것인데, 장말에는 ‘근안(謹按)’이라 하여 저자의 주견을 적었다.

책의 구성은 동몽교육에 필요하다고 보는 내용을 3편 39조로 나누어 편찬하였다. 상편에서는 충신의 도덕적 정당성을 논하였는데, 공자의 주충신(主忠信)하라는 언명에 대한 정자·주자 등 명유의 전주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또한, 말에는 사실이 따르고 행동에는 상도법칙이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그밖에 언행에 관한 제현들의 명구·잠언 등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요컨대, 언행에는 충신을 위주로 하여야 함을 논한 것이다.

중편에서는 상편과 같은 구성방식으로, 말이란 행동의 표상이며 행동은 말의 실상임을 논하였다. 말과 행동은 표리일체임을 강조한 것이 중편의 중심내용이다. 하편에서는 말이 신중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신망을 상실하고, 크게는 흥병(興兵)하게 하여 일국의 패망에까지 이르는 환란을 초래함을 경계하고 있다.

구성방식에 있어서도 전편과 같으며, 인용된 인물은 주자 등 성리학자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책은 본격적인 아동교재로 보기에는 단점이 있고, 다만 저자 자신의 자손과 문중자제들을 교화하기 위한 윤리지침서의 성격이 짙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교육명저순례』(정순목, 배영사,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