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세고 ()

목차
관련 정보
연방세고
연방세고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김진과 아들 김극일 · 김수일 · 김명일 · 김성일 · 김복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김진과 아들 김극일 · 김수일 · 김명일 · 김성일 · 김복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3책. 목판본.

1797년(정조 21)에 후손인 김용보(金龍普)가 편집, 간행하였다. 앞머리에는 이상정(李象靖)이 쓴 서(序)가 있으며, 이어 목록을 실었다. 권1은 김진의 시문집인 <청계선생일고 靑溪先生逸稿>로서 시 7수, 서(書) 2편, 유계(遺戒)를 포함한 잡저 3편과, 부록으로 행장 · 묘지문 · 묘갈명 등 김진에 관한 글 8편을 실었다.

권2∼4는 <약봉선생문집 藥峰先生文集>이다. 권2에 시 247수, 권3에 시 138수, 권4에 시 68수, 부(賦) · 서(書) · 제문 각 1편, 비문 3편, 그리고 부록으로 저자의 묘갈명이 실려 있다.

많은 양의 시는 오언절구 · 칠언절구 · 오언율시 · 칠언율시 · 오언고시 · 오언배율의 순서로 수록되었는데, 고시나 배율은 모두 5편에 불과하다. 시의 주제는 매우 다양하며, 일상의 생활과 주위의 경관을 다룬 것이 많으며 친지들과 여행을 하면서 쓴 기행시들도 있다.

권5는 <구봉선생일고 龜峰先生逸稿>로서 시 14수, 부친의 상례를 기록한 <종천록 終天錄>의 잡저 1편,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묘지 · 묘갈명과 이황에게서 받은 서(書) 1편이 실려 있다.

권6은 <운암선생일고 雲巖先生逸稿>로 시 57수, 잡저인 <계산일록 溪山日錄>이 실려 있다. <계산일록>은 1565년(명종 20)과 그 다음해에 계산에서 이황으로부터 학문을 배울 때의 일을 적었다. 부록으로 저자의 언행을 모은 것, 묘지명 · 묘표 · 묘갈명, 이황으로부터 받은 편지 5편이 실려 있다.

권7은 <학봉선생문집보유 鶴峰先生文集補遺>로 성일의 시문을 수록하였다. 원문집과 별집에 빠진 시 13수와 서(書) 2편, <퇴계선생실기> 등을 모은 것이다. 시 중 <기행>은 1577년(선조 10) 주청사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을 때의 사정을 읊은 장편 기행시이다.

권8의 <남악선생일고 南嶽先生逸稿>에는 시 8수, 서(書) 2편, 퇴계 제문 1편, 묘갈명 4편, 금곡서당(金谷書堂)의 창립문, 노강서원(蘆江書院)에 보낸 정문(呈文), 저자에 대한 제문 · 만사 · 행장 등의 부록을 수록하였다. 이 중에는 김응조(金應祖) · 유성룡(柳成龍)이 쓴 것이 들어 있다.

당시 영남 사림들의 사상적 경향과 인간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많은 자료가 된다. 특히 이황에 관계된 각종의 글들이 실려 있어 사제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