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설법방 ()

목차
관련 정보
연설법방
연설법방
문헌
1907년 안국선이 연설 방법에 관하여 저술한 교재. 웅변입문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07년 안국선이 연설 방법에 관하여 저술한 교재. 웅변입문서.
내용

국한문체로 일명 ≪애국정신≫이라고도 한다. 1907년일한인쇄주식회사(日韓印刷株式會社)에서 간행하였다. 이준구(李駿求)가 발행하였으며, 1908년에 3판본이 간행되었다.

이 책은 연설 방법을 해설해 놓은 입문서로서 연설자의 태도, 연설의 역사, 연설 준비 등에 대하여 동서양의 명연설문을 인용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웅변술 요령에 관한 내용을 보면 ‘웅변가의 최초’, ‘웅변가 되는 법방(法方)’, ‘연설자의 태도’, ‘연설자의 박식’, ‘연설자의 감정’, ‘연설의 숙습(熟習)’, ‘연설의 종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말미에는 ‘청년강습회(靑年講習會)의 연설’, ‘낙심(落心)을 계(戒)하는 연설’, ‘정부 정책을 공격하는 연설’, ‘단연연설(斷烟演說)’, ‘학교의 학도를 권면하는 연설’ 등 실제 연설 예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연설문들은 안국선이 당시 현실 전반에 걸쳐 갖고 있던 핵심 사상을 피력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부 정책을 공격하는 연설’ 등에는 관비 유학생으로서 일본에서 수학한 그의 진보적인 정치이론이 잘 드러나 있다.

이 책은 ≪금수회의록 禽獸會議錄≫ 등과 함께 그가 조선총독부 관리로서 친일 성향을 띠기 이전의 대표적인 저술로 평가된다. ≪금수회의록≫은 ≪연설법방≫을 우화적인 세계 속에 허구화한 것으로, 문학의 형식을 통해 저항의식을 표현한 개화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 책은 새로운 사조가 젊은이들의 마음을 휩쓸고 있을 당시, 상당한 독자층을 확보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재간행되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 등에 있다.

참고문헌

『개화기의 교과용도서』(강윤호, 교육출판사, 1973)
「안국선연구(安國善硏究)」(윤명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74)
「안국선(安國善)의 생애와 작품세계」(권영민, 『관악어문연구』 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