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사원종공신녹권 ()

목차
관련 정보
영사원종공신녹권 본문
영사원종공신녹권 본문
조선시대사
문헌
1628년 영사원종공신도감에서 유효립의 반란을 평정한 영사원종공신에게 발급한 녹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628년 영사원종공신도감에서 유효립의 반란을 평정한 영사원종공신에게 발급한 녹권.
내용

1책. 활자본. 영사원종공신도감에서 왕명을 받들어 발급한 것이다. 영사원종공신은 1628년(인조 6) 인조반정으로 도태된 북인의 잔존세력이 꾸몄다고 설명되는 유효립(柳孝立)의 모반사건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녹훈되었다.

문서의 명칭에 이어 발급받은 인물의 관직 · 신분과 성명을 실었다. 본문은 임금의 전지 두 가지를 수록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영사원종공신 녹훈의 의의를 천명하고 각 등급별로 공신을 녹훈하는 1628년 9월 14일의 전교를 수록하였다.

일등공신은 봉림대군(鳳林大君) 이하 보인(保人) 김효신(金效信)까지, 이등공신은 주부 최대근(崔大根) 이하 사노(私奴) 고룡쇠[高龍金]까지, 삼등공신은 참지 유백증(兪伯曾) 이하 사령 주린(朱麟)에 이르기까지 모두 700여 명의 명단이 실려 있다.

두 번째 전지는 같은 해 12월 26일 공신에 대하여 특전을 내린 내용이다. 특전의 내용은 공신 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공신 본인의 품계를 1등급 가자(加資)하고 그 부모를 봉작(封爵)하거나 자손을 서용하는 것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조에서 처리하게 하였다.

끝에 공신도감 관직자의 명단을 수록하였다. 당상은 홍서봉(弘瑞鳳) · 허적(許𥛚), 낭청은 김남중(金南重) · 이경증(李景曾), 감교낭청(監校郎廳)은 이수림(李修林) · 허일(許佾), 감조관(監造官)은 이유기(李裕基)이다. 규장각도서 · 장서각도서에 봉림대군에게 발급된 것을 비롯한 다수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