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실기 ()

목차
관련 정보
영호실기
영호실기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의병장 윤경남의 유고와 의병활동 등을 수록하여 1897년에 간행한 의병록. 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의병장 윤경남의 유고와 의병활동 등을 수록하여 1897년에 간행한 의병록. 전기.
내용

1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97년에 10대손 주하(胄夏)가 ≪김송암가장 金松庵家藏≫·≪문모계수기 文茅谿手記≫·≪산서잡록 山西雜錄≫·≪용사일기 龍蛇日記≫ 등에서 관계되는 기록을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윤경남의 고손(高孫)이며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역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윤상거(尹商擧)의 행적이 부록 가운데 포함되어 있다.

권두에 장복추(張福樞)의 서문, 권말에 허유(許愈)와 후손 택규(宅逵)의 발문이 있다. 권상에는 세계도·소(疏), 제문 1편이 실려 있으며, 부록으로 제문 2편, 만(輓) 1편, 제현설(諸賢說) 5편이 있다.

권하는 모두 부록으로, 가장(家狀)·묘갈명·서묘갈명후(書墓碣銘後)·행장·유사, 유사추술(遺事追述)·청증소(請贈疏)·이조복계(吏曹覆啓)·의정부복계(議政府覆啓)·편년략(編年略)·분황고유문(焚黃告由文)·부의사공유사(附義士公遺事) 등이 실려 있다.

전체적으로 저자와 후손 윤상거에 대한 기록을 모은 부록이 대부분이며, 특히 그들의 포장에 대한 기록을 모아 놓았다. 윤경남의 유문 중 상소는 개령현감 때 올린 구막소(救瘼疏)로, 농사 및 농민의 형편을 자세히 서술하고 진민책으로 환곡을 분급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제문은 문위·조응인(曺應仁)이, 만사는 문위가 지었다. 제현설은 김면과 윤경남 등 여러 인물의 임진왜란 때의 활약상에 관한 기록들을 모은 것이다.

<부의사공유사>는 윤상거가 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한 내용에 관한 기록으로 통경내문(通境內文) 2편, 소모문(召募文)·전령(傳令)·격문·창의일기(倡義日記)·전(傳)·이조초기(吏曹草記)·녹권주(錄券註)·고유문 등이 있다.

임진왜란 때 영남 사림들의 동향과 후일 그에 대한 처리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