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관서원 ()

목차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오관산(五冠山)남쪽 기슭에 있었던 조선후기 박상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오관산(五冠山)남쪽 기슭에 있었던 조선후기 박상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내용

1683년(숙종 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상충(朴尙衷)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5년에 ‘오관(五冠)’이라고 사액되었으며, 그 뒤 박세채(朴世采)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740년(영조 16)에는 영조가 친히 행행(行幸)하여 치제(致祭)하였다.

그 뒤 1871년(고종 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위패는 서원자리에 매안하였다. 1950년대 이후의 사항은 미상이다.

참고문헌

『서원등록(書院謄錄)』
『열읍원우사적(列邑院宇事蹟)』
『전고대방(典故大方)』
『개성읍지(開城邑誌)』
『송도지(松都志)』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