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오재집 ()

목차
관련 정보
옥오재집
옥오재집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송상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송상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8권 9책. 운각활자본(芸閣活字本). 1760년(영조 36) 저자의 아들 필환(必煥)이 편집하고 손자 재희(載禧)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총목(總目)이 있고 권말에 재희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사(辭) 1수, 시 139수, 권2∼4에 시 535수, 권5∼11에 소차(疏箚) 90편, 계(啓) 2편, 의(議) 6편, 권12에 반교문(頒敎文) 8편, 책문(冊文) 6편, 교서 4편, 전(箋) 1편, 장(狀) 1편, 상량문 7편, 권13에 서(序) 7편, 기 9편, 제발(題跋) 3편, 권14에 신도비명 2편, 묘지명 4편, 묘갈명 6편, 묘표 3편, 권15에 시장(諡狀) 1편, 행장 2편, 권16은 제문 24편, 권17에 남천록(南遷錄) 상·하, 권18에 부록으로 그에 대한 치제문·제문·신도비명·시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옥오재집≫에서 시는 대부분 청나라나 일본으로 떠나는 사신들과의 전별시가 많다. 그 중에 인척관계에 있던 김창집(金昌集)·김창협(金昌協)·김창업(金昌業), 그리고 남구만(南九萬)·김춘택(金春澤) 등의 이름도 나타나고 있다.

<정부원 征婦怨>이라는 작품은 변방에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가련한 어느 여인의 심정을 노래함에 있어 그의 애틋한 표현력이 돋보인다. <장부연행도고양기지경 將赴燕行到高陽寄持卿> 이하 85수는 <성사록 星槎錄>이라고 한다. 1702년(숙종 28) 서장관으로 중국을 여행하면서 견문한 것과 여정의 감회를 읊은 것으로, 종래의 ≪연행록 燕行錄≫들과 좋은 비교가 된다.

권17에 있는 <남천록> 상·하는 그가 1721년(경종 1) 판돈녕부사로서 소론에게 밀려날 때부터의 일과 관직에 재임하였을 때의 단편적 사실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당쟁사연구의 좋은 자료가 될 뿐 아니라,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그 밖에도 <사임당화첩발 思任堂畵帖跋>은 한국회화사연구에 기여할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1979년 그의 9대손 건영(健永)의 발문을 붙인 ≪제월당집부옥오재집 霽月堂集附玉吾齋集≫이 종중에서 영인되어 간행된 바가 있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도서 등에 있다. 2013년에 충남대 한자문화연구소에서 국역본 『옥오재집』을 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