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진재시초 ()

목차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의원 주명신의 시 「남정편」 · 「전가행차운」 · 「영학」 등을 수록하여 1791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의원 주명신의 시 「남정편」 · 「전가행차운」 · 「영학」 등을 수록하여 1791년에 간행한 시집.
내용

3책. 필사본. 1791년(정조 15)에 간행되었다. 『옥진재시초』의 간행동기는 저자가 정조로부터 태의(太醫)라는 벼슬을 하사받고 태자의 탄생을 계기로 그에게 내려진 어필과 종이를 받은 뒤, 이에 감격하여 후손에게 남기고자 하는 뜻에서 자신의 신·구고(新舊稿)에 어필을 합편하여 간행하였다고 권두의 자서(自序)에 밝히고 있다.

『옥진재시초』 천책(天冊)은 「서산행(西山行)」·「남정편(南征篇)」 등 장편의 오언고시 6수, 「기성작(箕城作)」·「열하행(熱河行)」·「전가행차운(田家行次韻)」·「선래시유별제료(先來時留別諸僚)」 등 장편의 칠언고시 5수가 수록되었다.

「상화(霜花)」·「수선화(水仙花)」·「초동효우(初冬曉雨)」·「금영추야독좌대등화(錦營秋夜獨坐對燈花)」·「영원패루차광옥운(寧遠牌樓次光玉韻)」 등 오언절구 46수, 「쌍태산(雙台山)」·「망백탑보(望白塔堡)」·「월야촌기(月夜村妓)」·「출동진문환덕승문(出東眞門還德勝門)」·「차삼방심양운삼십수(次三房瀋陽韻三十首)」 등 칠언절구 159수, 「역수(易水)」·「화표주(華表柱)」·「안시성(安市城)」·「봉황성(鳳凰城)」·「금석산(金石山)」·「책문(柵門)」 등의 오언율시 138수로 총 354수가 수록되어 있다.

『옥진재시초』의 「남정편」은 경기이남 지방을 돌아보고 풍물과 산수를 읊은 것이고, 「열하행」은 1720년에 연경(燕京)에 다녀온 기행시이다. 「전가행차운」은 농촌실정을 그린 작품이다. 탐관의 간악한 행위와 이에 시달리는 농민의 실상을 서술하고 있다.

지책(地冊)은 「요야(遼野)」·「심양차운(瀋陽次韻)」·「열하도중(熱河途中)」·「과봉황성(過鳳凰城)」 등 칠언율시 상편 309수가 있다.

『옥진재시초』 인책(人冊)은 「부득어부(賦得漁父)」·「영국(詠菊)」·「영호피(詠虎皮)」·「영학(詠鶴)」 등의 칠언율시 하편 20수와 자서가 실려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