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안 ()

목차
근대사
문헌
대한제국기 각 관서 및 관직명 · 관원명 등을 수록한 관찬서. 관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각 관서 및 관직명 · 관원명 등을 수록한 관찬서. 관안.
내용

편자 및 연대 미상. 필사본. 1책 56장. 가로 18.5cm, 세로 28.4cm.

본 자료에서는 ① 의정부, 평리원, 한성부, 헌병대, 무관학교, 전보총사, 우체총사, 호위대 등의 최고위직 명칭, ② 내부, 외부, 궁내부의 대신명과 한성부판윤, 중추원의장, 통신원 총판, 평리원 재판장, 철도원총재, 표훈원총재 등의 명단, ③ 13도의 관찰부 소재(평안남도-평양, 평안북도-영변, 강원도-춘천, 경기도-수원, 충청북도-충주, 충청남도-공주, 전라북도-전주, 전라남도-광주, 경상북도-대구, 경상남도-진주, 함경남도-함흥, 함경북도-종성) 및 전현임 관찰사 명단, 그리고 각 도 소속 군의 숫자(평안남도-23군, 평안북도-21군, 강원도-26군, 경기도-38군, 충청북도-17군, 충청남도-37군, 전라북도-26군, 전라남도-34군, 경상북도-41군, 경상남도-31군, 함경남도-14군, 함경북도-10군)와 전국의 군명(318)을 기록하고 있다.

외안이라 이름 붙인 것은 주로 외관직과 관련된 내용을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어떠한 목적에 의해 누가 이 안을 작성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아마도 대한제국 정부의 조직이 개편되고, 양전지계사업 등 개혁 사업이 진행되면서 최고위 인사권자(황제 등)의 인사에 관한 참고를 위해 작성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본 자료의 작성연대는 관직자의 명단으로 미루어 보아 1901년(6월경)으로 추정된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하성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구한국관보(舊韓國官報)』
『고종실록(高宗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