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념재시문초 ()

목차
관련 정보
우념재시문초
우념재시문초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이봉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봉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4책. 활자본. 이만용(李晩用)의 교정과 아들 명오(明五)·숭오(崇五) 등의 편집을 거쳐 1892년(고종 29)에 간행되었다.

표제에는 ‘우념재시초’ 또는 ‘우념재시문초’로 되었으나, 내용으로 보아 ‘우념재시문초’가 타당하다. 숭오가 쓴 지문(識文)을 비롯하여 권1∼6은 시, 권7∼9는 문(文), 권10은 차기(箚記)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명승고적과 풍경을 읊은 것, 그리고 교유인사들간에 있었던 증별시·만사 등이 대부분이다. 문에는 정선(鄭敾)·서명응(徐命膺) 등을 임소(任所)로 보내면서 써준 서문(序文), ≪삼운성휘 三韻聲彙≫·≪정사열시고 鄭士說詩稿≫에 대한 발문(跋文), 조낙천(趙樂天)·엄성오(嚴聖五) 등에게 보낸 서간.

윤현포(尹玄圃)·정형익(鄭亨益) 등에 대한 제문, 김이흥(金履興)·조의경(趙義卿) 등에 대한 애사(哀辭), 유형원(柳馨遠)의 묘갈명, 왕개보(王介甫)의 활민정책에 대하여 쓴 논(論), 본지백세(本支百世)에 대한 송(頌)이 있다.

<차기>는 저자가 평소 듣고 본 것을 수필식으로 적은 것으로, 귀감이 될 만한 내용이 많다. 이상의 내용을 보아 저자는 특히 시에 능한 문장가임을 알 수 있는데, 그의 시는 중국인의 시화(詩話)나 일본인이 간행한 ≪선린집 善隣集≫에도 언급되었다.

저자는 우념재 외 서정(西汀)·제암(濟庵) 등의 별호를 썼는데, 중국인은 서정이라 칭하고 ≪선린집≫에서는 제암이라 칭하였다. 한편, 규장각소장본으로 ≪우념재시고 雨念齋詩藁≫ 1책이 전하는데, 그 내용은 이 책의 시 부분이 수록된 것이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