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투리 설화」는 「아기장수 설화」의 한 유형으로 「귀양 간 지리산 설화」와 결합되어 전승되기도 한다. 경상남도 함양, 전라남도 구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 등 지리산 부근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울떼기 설화'라고도 불린다.
가난하게 사는 집안에 지리산 산신이 점지한 아기가 억새로 탯줄을 자르고 태어났다. 아기는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려 있었다. 천장으로 날아오르는 등 비범한 능력을 보여서 이름을 우투리라 하였다. 우투리는 새 나라를 세우기 위해서, 콩 · 팥 등의 곡식을 가지고 바위 속에 들어가 수련을 하였다. 이때 이성계는 왕이 되기 위하여 산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려고 팔도를 돌아다녔다. 한 소금 장수가 '이성계가 지낸 제사는 부정하여 산신들이 받지 않았다.'라는 나무들의 대화를 듣고, 이성계에게 이를 알려 제사를 다시 지내게 하였다. 이후 다른 산신들은 이성계가 왕이 되는 것을 찬성하였는데, 지리산 산신은 우투리가 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이성계는 우투리 어머니를 찾아가 거짓으로 꾀어 혼인을 하였다. 이성계는 아내가 된 우투리의 어머니에게 끈질기게 우투리의 종적을 캐물었고, 이성계를 믿은 우투리의 어머니는 우투리가 있는 곳을 일러 주었다. 이성계는 마침내 때가 되어 용마를 타고 막 의병을 일으키려는 우투리와 그의 군사들을 찾아가 모조리 죽여 버렸다. 그 뒤 왕이 된 이성계는 지리산 산신을 귀양 보냈다.
죽었던 우투리가 산짐승 덕택에 다시 살아난다는 변이형도 있는데, 다시 살아났어도 아기장수는 끝내 과업을 성취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아기장수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민중의 믿음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설화와 비슷하면서 이성계 · 소금 장수 · 나무들의 대화에 관한 내용이 없는 「둥구리 설화」도 있다. 「둥구리 설화」에는 이성계와 관련된 내용이 생략되고, 어머니가 관군에게 일러 아기장수를 죽게 하였다는 설화가 보편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둥구리'는 하늘을 뜻하는 '댕그리[tä ŋri]'라는 몽고어에서 온 말로 추정되며 의미는 우투리와 비슷하다.
'우투리'는 윗몸을 가리키는 표현이며, 여기에서 ‘윗사람’, 우두머리'라는 뜻을 유추해낼 수 있다. 이 설화의 주인공 이름이 '우투리'인 것은 그가 바로 '새 나라를 세울 영웅, 우두머리'라는 숨은 의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이 설화에 나타나는 날개는 새 시대를 열 수 있는 영웅의 능력을, 억새는 민중의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소망을, 곡식은 민중의 영웅을 지지하는 농민을, 어머니는 현상을 유지하려는 소극적이고 보수적인 태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우투리를 죽인 원인을 가족인 어머니에게서 찾는 것은 민중이 자신들의 영웅을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자기 반성적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성계로 표상되는 지배층에 대한 반감을 내포하고 있는 이 설화가 조선시대에도 끊이지 않고 전승되었다는 사실은 민중의 저항 의식과 새로운 세계로의 전환에 대한 기대가 지속되어 왔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