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봉 분지 ( )

자연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지역에 있는 분지.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지역에 있는 분지.
개설

이 분지는 지리산국립공원의 서북쪽에 접해 있는 고원성 분지로 분지면의 고도가 450∼480m이다.

자연환경

분지 내에는 460∼500m 고도의 구릉성 산지가 분지저와 비고 70m 이하로 산재하고 있으며, 이들 산지 사이에 곡저평야가 발달하고 있다. 광천(廣川)은 세걸산(世傑山, 1,207m), 고리봉(1,305m) 등 남동부에 위치하는 1,000m 이상의 고산지에서 발원하는 지류천들을 합류하여 북동류하여 남강에 합류한다. 따라서 분지의 형태는 남쪽이 좁고 고도가 높으며, 북쪽으로 가면서 완만히 낮아지며 넓게 열린다.

즉, 분지 내를 관류하는 광천의 영향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약 10km의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분지의 남서쪽에는 좁은 협곡으로 된 통곡이 남원분지 쪽으로 나 있다. 이 곡은 하천쟁탈로 형성된 것인데, 남쪽 만복대(萬福臺, 1,433m)에서 발원하여 덕치리 부근에서 서류하며 섬진강 지류인 요천(蓼川)으로 흘러간다.

이 하천은 분지의 남서부를 깊이 개석하여 V자형의 좁은 협곡을 형성하였는데, 원래 덕치리에서 광천에 합류하였으나 요천의 지류인 주천(朱川)이 두부침식하여 하천의 유로를 현재와 같이 변경시켰다. 따라서 주천은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구룡폭포와 같은 천이점을 만들고 있다. 분지의 한쪽은 요천을 거쳐 섬진강으로 하나는 광천을 거쳐 남강에 합류하는 곡중분수계(谷中分水界)를 형성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이 지역의 지질은 한반도의 중심 구조선의 하나인 중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구조선과 지질구조를 나타낸다. 분지의 동쪽 경계부는 영남변성암 복합체인 변성암지대이고, 분지저는 화강암지대로서 차별침식에 의하여 분지가 형성되었다.

변성암과 접촉하는 분지의 동쪽 경계부는 1,000m이상의 높은 고지대로 이어져 이 산지에서 발원한 공안천을 비롯한 소지류들이 산지에서 분지저로 나오는 지점에 선상지를 형성한다. 분지의 서쪽 경계는 남원분지의 동북쪽 분수령과 이어지는데, 수정봉(水晶峰, 804m) 및 600∼700m고지가 남북으로 이어져 분지면과 경사 변환점을 이룬다.

현황

이 지역의 농업은 고랭지의 특색을 살려 호프 재배, 고랭지채소를 특화하고 있다. 그리고 산록부에 초지를 조성하여 축산이 크게 발달되었는데, 특히 시범 면양 목장이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고원의 습윤한 기후에 잘 자라는 오리나무를 이용한 목기가 유명하다. 현재 분지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는 4번 국도는 88올림픽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운봉분지에서는 해마다 왜구를 섬멸했던 조선태조이성계의 황산벌 전투를 기리는 축제인 황산대첩제가 열리며, 1971년시범면양목장이 설치되면서 철쭉만 남기고 다른 잡목과 풀을 모두 먹어버리면서 형성된 철쭉군락지를 이용한 바래봉철쭉제가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지형조건을 이용한 지리산활공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2007년 현재 운봉읍의 미곡생산량은 6,744.8톤에 이르며, 잡곡은 11.9톤이며 주로 옥수를 생산하고 있다. 두류는 35.5톤으로 주로 콩이며, 서류는 생서 기준으로 2,115.1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감자이다. 이밖에도 서늘한 기후를 이용하여 채소의 생산량도 1,804톤에 이르고 있다. 가축은 소와 돼지의 사육이 많으며, 면양 대신 산양을 675두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한국지리지(韓國地理志) -전라ㆍ제주편(全羅ㆍ濟州篇)』(국토지리정보원, 2004)
『한국지명사전』(韓國地名辭典)(홍시환, 륙군사관학교, 1968)
「운봉분지(雲峰盆地)의 지형분류(地形分類)」(고기만,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운봉분지주변(雲峰盆地週邊)의 산록사면(山麓斜面) 지형(地形) 연구(硏究)」(이한영,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2007 남원시통계연보(http://www.namwon.go.kr)
운봉읍사무소(http://unbong.or.kr//index.html)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