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수양관연명지도 ()

목차
관련 정보
유영 수양관 연명지도
유영 수양관 연명지도
인문지리
문헌
국가유산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가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던 1571년의 일을 회상한 문서. 그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류영수양관연명지도(留營首陽館延命地圖)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4년 10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가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던 1571년의 일을 회상한 문서. 그림.
내용

개인 소장. 199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수양관은 황해도 감영의 본청인 선화당(宣化堂)의 별칭이었다. 이 그림을 제작하던 당시 윤두수는 황해감영 해주에서 가까운 황해도 연안부사(延安府使)였다.

그림 상단의 전서체(篆書體)로 쓴 제명은 글씨로 이름이 높았던 동생 윤근수(尹根壽, 1537∼1616)의 글씨이다. 그림 상단 우측에는 56자의 칠언시(七言詩)를 썼으며, 끝에 제작 일자와 ‘오음(梧陰)’의 인장을 찍었다.

황해도관찰사영인 수양관(首陽館)의 전경과 관찰사 행사 때의 행렬 의식 등이 채색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림의 밑에는 당시 배행(陪行)했던 영리(營吏) 24인의 이름, 관직, 본관 등을 기록하였다.

향리 명단 아래에는 1737년(영조 13) 윤두수의 6대손 윤득화(尹得和, 1688∼1759)가 이 그림을 보고 쓴 기록이 있다. 이 기록은 윤득화가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전란을 겪으면서도 보존되어 있던 이 그림과 글씨를 보고 감흥을 일으켜 그림의 유래 등을 설명한 것이다.

선조의 예에 따라 자신을 배행(陪行)했던 영리(營吏) 29인의 이름과 관직을 기록하였으며, 선조(宣祖)대에 이름이 기록된 영리의 후손들 이름 밑에는 누구의 6대손임을 기록하여 역사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짐을 밝혔다.

또, 1759년에 6대손 윤득양과 1803년(순조 3)에 8대손 윤정렬, 그리고 1814년에 8대손 윤욱렬이 역대 선조의 그림과 글씨를 보았음을 적어 놓은 기록도 남아 있다.

조선 전기의 작품이 드물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가 높으며, 이 그림을 통해 16세기 후반의 해주에 있던 황해도관찰사영의 경관과 관찰사 부임 행렬의 전모를 볼 수 있다. 또한, 산의 묘사에 단선점준(短線點皴)이 사용되어 조선 전기에 유행했던 안견(安堅) 화풍의 영향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대관』(경기도, 199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