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유일심 ()

목차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 의관 이정즙(李廷揖)이 소아의 병증과 약방을 엮어 1781년(정조 5)에 편찬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의관 이정즙(李廷揖)이 소아의 병증과 약방을 엮어 1781년(정조 5)에 편찬한 의서.
내용

3권 1책. 필사본. ‘유유집성(幼幼集成)’이라고도 한다.

이 책의 교정을 본 김기헌(金紀憲)의 서문에 의하면, 이정읍은 소시에 명의(名醫)로서 세상에 널리 알려졌으나 불행히도 사고로 유배되어 30여년 동안 귀양살이를 하면서 『의유(醫幼)』 수십권을 찬집하였는데, 모두 흩어져버려 전하지 못하고 오직 본서 3권이 남아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본서는 이정읍이 유배지에서 찬집한 것인데, 그 내용은 소아의 해독법(解毒法)·단제법(斷臍法)·세목법(洗沐法)·유포법(乳哺法)·보호법(保護法)·단유법(斷乳法)·초생간병결(初生看病訣)·관형찰색(觀形察色)·초생잡병(初生雜病)·태병(胎病)·촬구(撮口)·금구(○口)·제풍(臍風)·제창(臍瘡)·야제(夜啼) 등의 소아병 69증(症)에 대하여 간단히 병증을 논하고, 그 병증에 해당되는 약방들을 열거한 소아과의 전문방서이다. 일본 미키문고(三木榮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