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 신생사(新生社)에서 간행되었다. 이 방면의 책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이다. 저자 김신실은 당시 이화여자전문학교(梨花女子專門學校) 체육부 담당교수였다.
저자는 서문에서 운동과 유희는 건강과 덕성을 증진시키는 데 큰 유익을 줄 뿐 아니라 우리에게 쾌활한 정신과 사교적 · 협동적 정신까지 주어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게 만든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당시 사회적 여건으로 보아 운동과 유희에 대한 필요는 벌써 있었으나 그에 대한 책자가 없는 것이 유감으로 생각되어 이 책자를 펴내게 되었으며, 외국의 유희 책들을 참고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체재는 신생사 유형기(柳瀅基)의 서(序)와 저자의 서문에 이어 유희인도자의 주의할 점 몇 가지, 유희지침 목차, 본문의 차례로 되어 있다.
부록 ‘조선수수께끼’ 다음에 ‘유희지침 분류목차’도 참고로 나와 있다. 이 책에 나온 놀이 이름은 ‘가락지돌리기’, ‘개성장사꾼’, ‘경성가기’, ‘무언극’, ‘구렁이 허물벗기’, ‘사뽀뽀’, ‘황새경주’ 등 총 204종의 놀이가 설명되어 있다. 부록으로는 당시 이화여자전문학교 보육과 학생들의 도움으로 수집한 수수께끼 300수가 소개되어 있다.
내용을 보면, 먼저 유희를 인도해 나가는 사람은 놀이를 유쾌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을 꼭 기억해 두어야 한다고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유희할 장소를 살펴 그 장소와 환경에 맞는 유희를 택할 것, 둘째, 유희할 사람 수를 살펴 그 수효에 맞는 유희를 택할 것, 셋째, 유희할 사람의 연령을 살펴 그 연령에 맞는 유희를 택할 것, 넷째, 유희할 이들에게 선택한 유희를 간단하고 분명하게 설명할 것, 다섯째, 유희하는 이들의 형편을 살펴 만일 그 유희를 재미없어 하면 곧 다른 것으로 바꾸되 한 가지 유희로 10분 이상은 계속하지 말 것 등을 들고 있다.
다음 유희지침 분류목차로는 ① 경기(42종), ② 속이는 장난(9종), ③ 아르켜 내는 장난(18종), ④ 인사유희(13종), ⑤ 실내유희(133종), ⑥ 원 짓고 노는 장난(19종), ⑦ 잡기 내기 (32종), ⑧ 조용한 장난(25종), ⑨ 체조시간에 좋은 장난(59종)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최초의 운동과 유희에 관한 지침서라는 점과 소개된 모든 유희를 분류, 정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